4를 사용한 비즈니스 목표 충족 스터디 6편

마지막 업데이트: 2022년 2월 2일 | 0개 댓글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계정 만들기 - 04

Video Intelligence: Qwik Start

Google Cloud Video Intelligence를 사용하면 간단한 REST API로 메타데이터를 추출하여 동영상을 검색할 수 있습니다. 카탈로그에 있는 모든 동영상 파일 속 모든 시점을 검색할 수 있습니다. 또한 Cloud Storage에 저장된 동영상에 신속하게 주석을 추가하여 동영상에 등장하는 주요 명사 항목을 찾아내고, 각 항목이 동영상의 어디에 나오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동영상 전체, 촬영 샷, 프레임별로 관련 정보를 검색하여 신호와 잡음을 분리할 수 있습니다.

설정 및 요구사항

실습 시작 버튼을 클릭하기 전에

다음 안내를 확인하세요. 실습에는 시간 제한이 있으며 일시중지할 수 없습니다. 실습 시작을 클릭하면 타이머가 시작됩니다. 이 타이머에는 Google Cloud 리소스를 사용할 수 있는 시간이 얼마나 남았는지 표시됩니다.

Qwiklabs 실습을 통해 시뮬레이션이나 데모 환경이 아닌 실제 클라우드 환경에서 직접 실습 활동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실습 시간 동안 Google Cloud에 로그인하고 액세스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새로운 임시 사용자 인증 정보가 제공됩니다.

필요한 사항

이 실습을 완료하려면 다음을 준비해야 합니다.

  • 표준 인터넷 브라우저(Chrome 브라우저 권장)
  • 실습을 끝까지 진행할 시간

참고: 이미 개인용 Google Cloud 계정이나 프로젝트가 있어도 이 실습에서는 사용하지 마세요.

참고: Chrome OS 기기를 사용하는 경우 시크릿 창을 열어 이 실습을 실행하세요.

실습을 시작하고 콘솔에 로그인하는 방법

실습 시작 버튼을 클릭합니다. 실습 비용을 결제해야 하는 경우 결제 수단을 선택할 수 있는 팝업이 열립니다. 왼쪽에 있는 패널에서 이 실습에 사용해야 하는 임시 사용자 인증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 이름을 복사한 다음 Google 콘솔 열기를 클릭합니다. 실습에서 리소스가 실행되며 계정 선택 페이지를 표시하는 다른 탭이 열립니다.

팁: 두 탭은 각각 별도의 창에 나란히 여세요.

계정 선택 페이지에서 다른 계정 사용을 클릭합니다.

로그인 페이지가 열립니다. 연결 세부정보 패널에서 복사한 사용자 이름을 붙여넣습니다. 그런 다음 비밀번호를 복사하여 붙여넣습니다.

중요: 연결 세부정보 패널에 표시된 사용자 인증 정보를 사용해야 합니다. 본인의 Qwiklabs 사용자 인증 정보를 사용하지 마세요. 개인용 GCP 계정이 있어도 이 실습에서 사용하지 마세요(요금 청구 방지).

이후에 표시되는 페이지를 클릭하여 넘깁니다.

  • 이용약관에 동의합니다.
  • 임시 계정이므로 복구 옵션이나 2단계 인증을 추가하지 않습니다.
  • 무료 평가판을 신청하지 않습니다.

잠시 후 GCP Console이 이 탭에서 열립니다.

Google Cloud Shell 활성화하기

Google Cloud Shell은 다양한 개발 도구가 탑재된 가상 머신으로, 5GB의 영구 홈 디렉토리를 제공하며 Google Cloud에서 실행됩니다. Google Cloud Shell을 사용하면 명령줄을 통해 GCP 리소스에 액세스할 수 있습니다.

GCP Console의 오른쪽 상단 툴바에서 Cloud Shell 열기 버튼을 클릭합니다.

( 계속) Continue을 클릭하십시오.

환경을 프로비저닝하고 연결하는 데 약간의 시간이 걸립니다. 연결되면 이미 인증되었으며 프로젝트는 PROJECT_ID 로 설정됩니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습니다.

gcloud는 Google Cloud Platform의 명령줄 도구입니다. Cloud Shell에 사전 설치되어 있으며 탭 자동 완성을 지원합니다.

다음 명령어로 사용 중인 계정 이름 목록을 표시할 수 있습니다.

다음 명령어로 프로젝트 ID 목록을 표시할 수 있습니다.

Video Intelligence API 사용 설정

이 실습을 위해 Cloud Video Intelligence API가 사용 설정되어 있습니다.

승인 설정하기

이 실습에서는 승인을 위해 Qwiklabs Google Cloud 프로젝트에 연결된 서비스 계정을 만들어 사용합니다.

Cloud Shell에서 다음 명령어를 실행하여 quickstart 라는 새 서비스 계정을 만듭니다.

gcloud iam service-accounts create quickstart

서비스 계정 키 파일을 만들고 을 Qwiklabs 프로젝트 ID로 바꿉니다.

gcloud iam service-accounts keys create key.json --iam-account [email protected]

이제 서비스 계정 키 파일의 위치를 전달하여 서비스 계정을 인증합니다.

gcloud auth activate-service-account --key-file key.json

서비스 계정을 사용하여 승인 토큰을 가져옵니다.

gcloud auth print-access-token

토큰이 결과에 인쇄됩니다. 이후 단계에서 이 토큰을 사용할 것입니다.

내 진행 상황 확인하기를 클릭하여 목표를 확인합니다. 승인 설정하기

주석이 달린 동영상 요청 만들기

이 명령어를 실행하여 다음 텍스트로 JSON 요청 파일을 만들고 request.json 으로 저장합니다.

cat > request.json EOF 프로세스를 단순화하기 위해 Qwiklabs 프로젝트에서 사용할 수 있는 기차 공개 동영상이 inputUri 의 값으로 사용됩니다. 개인 프로젝트에서 선호하거나 실행 중인 경우 동영상을 Cloud Storage에 업로드하고 'inputUri' 값에 대한 Cloud Storage URI(형식: gs://bucket/object)를 제공하여 다른 동영상을 대신 사용할 수 있습니다.

curl 을 사용하여 videos:annotate 요청을 만들고 항목 요청의 파일 이름을 전달합니다.

curl -s -H 'Content-Type: application/json' \ -H 'Authorization: Bearer '$(gcloud auth print-access-token)'' \ 'https://videointelligence.googleapis.com/v1/videos:annotate' \ -d @request.json

Video Intelligence API는 요청을 처리하는 작업을 만듭니다. 아래와 유사한 형식으로 작업 이름이 포함된 응답이 표시됩니다.

이후 단계에서 이 작업 이름, 위치, 프로젝트를 사용합니다.

다음 스크립트를 사용하여 v1.operations 엔드포인트를 호출함으로써 작업에 대한 정보를 요청합니다. PROJECTS , LOCATIONS , OPERATION_NAME 을 이전 명령어에서 방금 받은 값으로 바꿉니다.

curl -s -H 'Content-Type: application/json' \ -H 'Authorization: Bearer '$(gcloud auth print-access-token)'' \ 'https://videointelligence.googleapis.com/v1/projects/PROJECTS/locations/LOCATIONS/operations/OPERATION_NAME'

작업과 관련된 정보가 표시됩니다. 작업이 완료되면 done 필드가 포함되고 true 로 설정됩니다.

요청 후 잠시(일반적으로 약 1분) 기다렸다가 명령어를 다시 실행하면, 동일한 요청에서 주석이 달린 결과를 반환합니다.

첫 번째 요청을 Cloud Video Intelligence API에 보냈습니다.

내 진행 상황 확인하기를 클릭하여 목표를 확인합니다. 주석이 달린 동영상 요청 만들기

수고하셨습니다.

퀘스트 완료

이 사용자 주도형 실습은 베이스라인: 배포 및 개발과 베이스라인: 데이터, ML, AI 퀘스트의 일부입니다. 퀘스트는 여러 실습을 하나의 교육 과정으로 구성한 것입니다. 이 퀘스트를 완료하면 위의 배지를 얻고 수료를 인증할 수 있습니다. 배지를 공개하고 온라인 이력서 또는 소셜 미디어 계정에 연결할 수 있습니다. 이 실습을 완료했다면 퀘스트에 등록하여 즉시 수료 크레딧을 받으세요. 다른 Qwiklabs 퀘스트도 확인해 보세요.

다음 단계/더 학습하기

이 실습은 Qwik Start라고 하는 실습 시리즈에 속해 있기도 합니다. Google Cloud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기능을 간략하게나마 소개하고자 마련되었습니다. 실습 카탈로그에서 'Qwik Start'를 검색하여 다음으로 참여할 실습을 찾아보세요.

Google Cloud 교육 및 인증

Google Cloud 기술을 최대한 활용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Google 강의에는 빠른 습득과 지속적인 학습을 지원하는 기술적인 지식과 권장사항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기초에서 고급까지 수준별 학습을 제공하며 바쁜 일정에 알맞은 주문형, 실시간, 가상 옵션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인증은 Google Cloud 기술에 대한 역량과 전문성을 검증하고 입증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설명서 최종 업데이트: 2021년 7월 15일
실습 최종 테스트: 2021년 7월 14일

Copyright 2020 Google LLC All rights reserved. Google 및 Google 로고는 Google LLC의 상표입니다. 기타 모든 회사명 및 제품명은 해당 업체의 상표일 수 있습니다.

데모 계정 실습

지금까지 애널리틱스의 기초 과정을 학습했다면 이번에는 실제 데이터와 실제 계정으로 실습을 해볼 차례입니다.

애널리틱스 데모 계정을 둘러보며 애널리틱스 인터페이스를 익혀 보세요.

이 편에서 학습할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데모 계정의 용도
  • 데모 계정의 데이터 출처
  • 데모 계정 액세스 방법

1. 애널리틱스 데모 계정은 무엇인가요?4를 사용한 비즈니스 목표 충족 스터디 6편

Google 애널리틱스 데모 계정은 모든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애널리틱스 계정으로,

Google 사용자 누구나 액세스할 수 있습니다.

데모 계정을 사용하면 실제 비즈니스 데이터를 확인하고 애널리틱스 기능을 실험해 볼 수 있습니다.

모든 데이터는 체험을 위해 제공되는 실제 값이지만 몇 가지 제한 사항이 있습니다.

데모 계정 사용자는 읽기 및 분석 액세스 권한만 있고 ,

편집 액세스 권한은 없기 때문에 일부 설정은 사용할 수 없습니다.

액세스 수준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이 고객센터 도움말을 참조하세요.

2. 데모 계정은 누가 사용할 수 있나요?

데모 계정은 애널리틱스를 둘러보고 싶지만,

애널리틱스 계정이 없거나 계정에 데이터가 충분치 않은 사용자를 위해 마련되었습니다.

Google 사용자라면 누구나 데모 계정에 액세스할 수 있습니다.

다음 활동에 있는 링크를 따라 데모 계정 액세스를 선택하면 둘러보기 시작할 수 있습니다.

3. 다양한 속성 설정 둘러보기

비즈니스는 각기 다른 방법으로 온라인상의 고객에게 도달합니다.

웹사이트나 모바일 앱 중 하나를 사용하거나 두 경로를 모두 사용하기도 합니다.

이러한 이유로 데모 계정에는 테스트해 볼 수 있는 다양한 설정의 여러 가지 속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데모 계정에서 찾아볼 수 있는 속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 전자상거래 웹사이트를 위한 Google 애널리틱스 4 속성
  • 게임 앱을 위한 Google 애널리틱스 4 속성
  • 전자상거래 웹사이트를 위한 유니버설 애널리틱스 속성

유니버설 애널리틱스 속성은 이전 세대의 속성 유형이므로 이 교육 과정에서는 Google 애널리틱스 4 속성 2개를 중점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

이러한 속성 유형의 차이점을 자세히 알아보려면 이 고객센터 도움말을 참조하세요.

4. 데모 속성 소개

데모 계정에 있는 첫 번째 GA4 속성의 데이터는 Google 브랜드 상품을 판매하는 전자상거래 사이트인 Google Merchandise Store에서 제공되는 것입니다.

두 번째 GA4 속성의 데이터는 Android 및 iOS의 게임 앱인 Flood-It!에서 제공됩니다.

4-1. 구글 머천다이즈 스토어 (Google Merchandise Store)

Google Merchandise Store GA4 속성은 전자상거래 사이트의 전형을 보여줍니다.

이 속성은 다음과 같은 종류의 정보를 포함합니다.

  • 웹사이트 사용자의 출처 - 예: 자연 트래픽, 유료 검색 트래픽, 디스플레이 트래픽
  • 사이트 사용자의 행동 - 예: 사용자가 조회 중인 페이지의 URL, 사용자가 페이지 콘텐츠와 상호작용하는 방식
  • Google Merchandise Store 웹사이트에서 발생하는 거래

구글 애널리틱스 데모, 웹사이트 없이 데이터 파헤치기 (1)

구글 애널리틱스 데모는 웹사이트가 없거나 아직 설치되지 않은 분들을 위한 데모 계정입니다. 이 데모 계정은 구글의 가상 쇼핑몰인 Google Merchandise Store의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보내고, 여러분들이 직접 쌓여있는 데이터들을 볼 수 있도록 설정합니다.
오늘은 구글 애널리틱스 데모계정을 통하여 실제 기능과 분석을 실습할 시간입니다.
자, 따라올 준비 되셨나요?

안녕하세요. 그로스 해킹 에이전시, 크몽 마케팅 전문가 LABBIT의 유성민 이사입니다.
LABBIT은 웹/앱 데이터에 기반한 비즈니스 성장의 방법론은 연구하며 컨설팅을 진행해드리고 있습니다. 앞으로 크몽 블로그에 구글 애널리틱스의 관련된 글을 순차적으로 연재해나갈 예정입니다:)
오늘은 그 네번째 이야기를 진행해보도록 할게요.
아 참! 아직 구글 애널리틱스에 대해 잘 모르신다면 이전 글을 확인해 주세요.

이글을 읽고 계신 여러분은, 웹사이트가 없을 수도 있고 아직 구글 애널리틱스가 설치되어 있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이러한 분들을 위해 구글은 구글 애널리틱스 데모 계정을 지원하고 있는데요. 오늘은 이 데모 계정을 활용해 구글 애널리틱스의 기능을 체험해보고 데이터 분석까지 해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자, 우선 구글 검색창에 [구글 애널리틱스 데모 계정]이라고 검색해볼까요?

[구글 애널리틱스 데모 계정 활용하기]

Step.1

Google Support에서 지원해주는 4를 사용한 비즈니스 목표 충족 스터디 6편 구글 애널리틱스 데모 계정이 나타납니다.

Step.2

그러면 상단에 보이는 파란색 글씨 중, [데모 계정 액세스]를 클릭하고,
다시 한번 더 [데모 계정 액세스]를 클릭합니다.

Step.3

실제로 데이터가 쌓여있는 구글 애널리틱스 계정이 나타납니다.

Step.4

홈 화면으로 이동하면 보이는 화면 왼쪽에는 간단한 메뉴바가 있습니다. 화면 정면에는 이렇게 3가지 열이 구성되어 있습니다.
왼쪽은 [리포트를 보러 이동하는 영역]이고, 정면은 [우리 비즈니스에 맞게 리포트를 세팅하는 영역]입니다.

Step.5

3가지 열은 크게 계정, 속성, 보기의 단위로 나뉘고, 계정 — 속성 — 보기 순으로 , 레벨을 가지고 있습니다.

1) 계정 : 하나의 비즈니스를 지칭하는 단위로서, 여러분들의 구글 계정 하나당 100개의 구글 애널리틱스 계정을 가질 수 있습니다. 즉, 하나의 구글 계정의 100개의 브랜드를 관리할 수 있습니다.

2) 속성 : 속성은 같은 비즈니스라도 다양한 브랜드로 나뉠 때, 하나의 브랜드로 관리할 수 있는 단위입니다. 예를 들어 NC소프트에는 리니지, 아이온과 같은 다양한 게임 사이트가 별도로 있으나 하나의 브랜드에 종속됩니다. 이럴 때는 리니지 속성, 아이온 4를 사용한 비즈니스 목표 충족 스터디 6편 속성 등과 같이 속성 단위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하나의 구글 애널리틱스 계정에는 50개의 속성을 가질 수 있습니다. 속성끼리는 서로 데이터가 공유되지 않습니다.

3) 보기 : 보기는 우리가 보고 싶은 데이터를 [필터링] 하여 구분하는 단위입니다. 예를 들어 모바일 유저만 보고 싶다고 하면, 모바일 필터를 따로 걸어준 보기를 만듭니다. 속성 하나당 보기는 최대 25개까지 만들 수 있습니다.

우선 데이터를 조회하는 방법을 알아보기 위해 보이는 화면에서 왼쪽 메뉴의 빈 공간을 눌러봅시다. 그러면 보고서로 이동할 수 있는 메뉴가 펼쳐집니다. [보고서]라는 카테고리의 메뉴는 총 5가지가 있습니다. 그리고 해당 5가지를 눌러보면, 각각 카테고리에 맞는 상세 리포트들이 있는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5가지 메뉴를 살펴봅시다.

1) 실시간 : [실시간] 카테고리는 말 그대로 지금 이 순간 우리 웹사이트에 어떤 사람들이 어디서 들어왔고, 지금 우리 웹사이트에서 어느 위치에 머물고 있는지를 실시간으로 보여주는 리포트입니다.

2) 잠재고객 : [잠재고객] 카테고리는 우리 웹사이트에 들어온 사람들이 “어떤 사람들 인가?”에 집중한 리포트를 모아둔 카테고리입니다.

3) 획득 : [획득] 카테고리는 말 그대로 우리 웹사이트에 들어온 사람들이 “어디서 획득되었는가?”에 집중하고 있는 리포트를 모아둔 카테고리입니다.

4) 행동 : [행동] 카테고리는 우리 웹사이트에 들어와서 “도대체 어떤 행동을 하고 있는가?”에 집중하고 있는 리포트를 모아둔 카테고리입니다.

5) 전환 : [전환] 카테고리는 앞서 설명했듯, 매우 중요한 리포트입니다. 우리가 설정한 주요 Goal을 달성하고 있는지에 대한 지표를 모아둔 카테고리입니다.

Step.6

모든 데이터 리포트를 살펴보는 건 어려운 일입니다.
우선 제가 자주 사용하는 대표적인 리포트들만 각 카테고리별로 하나씩 살펴봅시다.
[실시간 카테고리] — [개요]로 이동합니다.

1.실시간 리포트
실시간의 개요 리포트는 현재 몇 명이 들어와 있고, 모바일 유저의 비율은 그중 몇 퍼센트이고, 현재 우리 웹사이트에서 어느 위치에 있는지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습니다. 사실 데이터는 어느 정도 쌓여야 맥락으로 인사이트를 뽑아내야 하기 때문에, 실제 현업에서 실시간 카테고리에 있는 리포트들은 주요 데이터가 잘 들어오는지, 방문자가 잘 잡히는지에 대한 검사를 하기 위해서 많이 쓰이고 있습니다.

2. 잠재고객 리포트
두 번째는 잠재고객 리포트입니다. 잠재고객 리포트는 테이블 형태로 데이터를 제공합니다. 구글 애널리틱스에서 제공하는 수백 개의 리포트 중 80%는 이 테이블 형태로 데이터를 제공해줍니다.

이번 장에서는 구글 애널리틱스 데모계정을 접속하는 방법부터 간단한 리포트를 보는 방법까지 살펴봤습니다.
여러분들이 오늘 소개해드린 테이블 표 형태의 데이터를 읽을 줄 알게 되면, 구글애널리틱스에서 제공하는 리포트 중 80%를 읽을 수 있게 된 것입니다.
다음 장에서는 잠재고객 카테고리 데이터를 읽는 방법부터, 구글애널리틱스를 통해 의사결정 하는 사례까지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GAIQ] 구글 애널리틱스 자격증 ( 실습을 위한 준비)


Google analytics : 비지니스 데이터 분석을 도와주는 분석 툴.
구글 애널리틱스의 장점 : Easy,Free & High Performace 로 요약.
데이터 분석의 비용이 부담스러운 스타트업 기업 혹은 중소기업에서 활용하기 유용.
조금 더 자세한 내용은 주소 참조.

비즈니스를 위한 애널리틱스 도구 및 솔루션 - Google 애널리틱스

Google 애널리틱스는 고객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는 데 필요한 도구를 제공합니다. 분석한 비즈니스 통계를 바탕으로 웹사이트를 개선하고 맞춤 잠재고객 목록을 생성하는 등의 조치를 취할 수 있습니다.

https://www.e-nor.com/

Google analytics의 사용량을 보기위해 e -nor 접속.
검색창에 fortune을 입력.

https://www.e-nor.com/

Google, Adobe, Webtrends, IBM 순서로 사용되지만 구글이 압도적인것을 볼 수 있다.

구글 애널리틱스 시작

계정 만들기 - 01

위의 URL을 들어간 후 무료로 계정 만들기 클릭.

계정 만들기 - 02

계정 만들기 - 03

티스토리와 연동을 해볼 것이므로 웹으로 진행.

계정 만들기 - 04

웹사이트 이름은 식별 가능한 것으로 하는 것을 권장.
티스토리 블로그의 URL을 입력.
보고 시간대는 반드시 대한민국 혹은 필요한 데이터 수집 국가로 선정. (데이터의 보고 시간은 중요)

계정 만들기 - 05

서비스 약관에서 대한민국으로 국가를 변경 후 진행.

계정 만들기 - 06

계정 만들기 완료.
모바일 앱은 다음기회에.
관심없음 클릭 후 사이트 태그 복사.

추적 코드 넣기

추적 코드 넣기 - 01

혹시 위의 화면을 찾고 싶다면 좌하단 '톱니바퀴' 모양의 설정 클릭 후
추적정보에 목록에 있는 추적 코드를 클릭.

추적 코드 넣기 - 02

블로그 혹은 웹 사이트에 넣어야 하는 추적 태그.
복사하기 (ctrl + c).

추적 코드 넣기 - 04

티스토리 블로그 관리 화면.
좌측 꾸미기 메뉴에 스킨 편집 클릭.

추적 코드 넣기 - 05

추적 코드 넣기 - 06

추적 코드 넣기 - 07

추적 코드 넣기 - 8

위의 과정을 거친 후 애널리틱스를 새로고침.
현재 블로그에 본인이 입장해 있기 때문에 1명의 활성 사용자 노출.
방문한 사람이 있다면 그만큼의 활성 사용자 노출.

데모데이터 사용하기

Google Online Store

추적 태그를 넣은지 얼마되지 않았거나, 방문자가 지속적으로 많지 않는 경우 등
의미있는 데이터를 얻기는 쉽지 않기 때문에 구글의 데모데이터 활용해야한다.
제공되는 데모데이터의 출처 사이트.

데모데이터 사용하기 - 01

위 사이트의 데모데이터를 얻기 위해 애널리틱스 좌하단의 탐색클릭.
첫번째 줄 가운데의 Google 애널리틱스 데모 계정 클릭.

데모데이터 사용하기 - 02

데모데이터 사용하기 - 4를 사용한 비즈니스 목표 충족 스터디 6편 03

성공적으로 데이터를 가져오는데 성공.

데모데이터 사용하기 - 04

애널리틱스 로고 옆의 계정 클릭.

데모데이터 사용하기 - 05

애널리틱스 게정
첫번째는 연동했던 티스토리 계정
두번째가 데모 데이터를 받는 계정

두번째 계정으로 실습 진행.
속성이 3가지
1. Master View : 최종적으로 저장하는 공간.
2. Test View : 각종 테스트를 하는 공간.
3. Raw Data View : 원본 데이터를 저장 하는 공간.

데이터 원본은 매우 중요하며,
테스트의 안정성이 검증 된후 본 서버에 적용하는 것처럼
위와 같이 3가지로 나누는 것을 권장.


0 개 댓글

답장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