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nomo에서 숨겨진 다이버전스가 있는 거래 철수

마지막 업데이트: 2022년 7월 21일 | 0개 댓글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USDJPY 차트에서 상승 추세의 정상 다이버전스

재무 차트(FinancialChart)의 재무 지표

wijmo.chart.finance.analytics 모듈에는 기술 인디케이터(indicator), 오버레이 및 Binomo에서 숨겨진 다이버전스가 있는 거래 철수 Fibonacci 도구를 포함한 재무 차트에 대한 분석 확장 기능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기술 지표는 기존 데이터 세트에 하나 이상의 공식을 적용하여 계산되는 파생된 데이터 세트입니다. 기술 지표는 일반적으로 자산의 시장 방향을 예측하는 데 사용되며, 일반적으로 Y축 눈금이 다르기 때문에 원본 데이터와 별도로 표시됩니다.

  • Average True Range (ATR): 자산의 변동성을 측정하는 데 사용됩니다. Average true range(ATR)는 가격 추세가 아닌 가격 변동성의 정도를 나타냅니다.
  • Relative Strength Index (RSI): 모멘텀 오실레이터(momentum oscillator)는 최근 거래 기간의 종가를 기준으로, 자산의 현재와 과거 강점 또는 약점를 측정하기 위해 고안되었습니다.
  • Commodity Channel Index (CCI): 특정 기간 동안의 평균 가격 수준에 비해 상대적인 자산의 현재 가격 수준을 측정하는 오실레이터입니다.
  • Williams %R: 빠른 스토캐스틱 오실레이터(Stochastic)와 반대인 모멘텀 지표입니다. Williams %R 지표는 자산이 거래 범위의 상한 또는 하한 부근에서 거래되고 있는지를 판단하기 위해 고안되었습니다.
  • Moving Average Convergence/Divergence (MACD): MACD 지표는 자산 가격 추세의 강도, 방향, 모멘텀, 지속 기간에서의 변화를 나타내도록 설계되었습니다.
  • Moving Average Convergence/Divergence Histogram
  • Stochastic: 스토캐스틱 오실레이터는 자산의 종가를 고가 범위와 비교하여 가격 전환점을 예측을 위해 설계된 모멘텀 지표입니다.

기술 인디케이터(indicator) 추가 방법

기술 인디케이터(indicator)는 일반 계열(Series) 클래스를 확장하여 선택한 데이터와 매개변수를 기반으로 계산된 계열을 제공합니다.

아래의 단계에 따라 차트에 추세선을 추가하실 수 있습니다:

  1. 하나 이상의 인디케이터(indicator) 객체를 만듭니다.
  2. 예를 들어 binding, bindingXstyle 속성을 설정하여 일반 계열(Series)와 같이 인디케이터(indicator)를 구성합니다.
  3. 인디케이터(indicator)의 period 속성을 설정하여 계산 기간을 결정합니다.
  4. 일부 인디케이터(indicator) 유형에는 둘 이상의 주기 매개변수가 있습니다.

Average True Range 예시

ATR 인디케이터(indicator)는 높음, 낮음, 열기,닫기 바인딩 값을 예상합니다. 일반적으로 Average True Range는 14개 기간을 기준으로 하며 일중, 일별, 주별 또는 월별 기준으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Relative Strength Index 예시

RSI 인디케이터(Binomo에서 숨겨진 다이버전스가 있는 거래 철수 indicator)는 단일 값 바인딩을 예상합니다. period 속성은 스무딩(smoothing) 기간을 나타냅니다. 권장 스무딩(smoothing) 기간은 14입니다.

Commodity Channel Index 예시

CCI 인디케이터(indicator)는 높음, 낮음, 열기,닫기 바인딩 값을 예상합니다.

Williams %R 예시

WilliamsR 인디케이터(indicator)는 높음, 낮음, 열기,닫기 바인딩 값을 예상합니다. Williams %R의 권장 기간은 14로, 일, 주, 월 또는 일중 기간이 될 수 있습니다.

MACD & MACD Histogram 예시

MacdMacdHistogram 인디케이터(indicator)는 단일 값 바인딩을 예상합니다. moving average convergence/divergence 인디케이터(indicator)는 세 가지 주기를 사용합니다: 느림, 빠름, 신호 평활화. MACD에 Binomo에서 숨겨진 다이버전스가 있는 거래 철수 사용되는 기본 설정은 26주기 저속 EMA(지수 이동 평균)과 12주기 고속 EMA입니다. 신호 라인은 일반적으로 9주기 표시기의 이동 평균으로 설정됩니다.

이 예시에서는 MacdHistogram 인디케이터(indicator)도 추가됩니다.

Stochastic 예시

Stochastic 인디케이터(indicator)는 높음, 낮음, 시작 및 닫기 바인딩 값을 예상합니다. Stochastic 인디케이터(indicator)는 K 주기, D 주기, 스무딩(Smoothing) 주기의 세 가지 주기를 사용합니다.

인디케이터(Indicator) 표시 옵션

visibility 속성을 다음 중 하나로 설정하여 표시기가 범례에 항목의 표시 여부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 Visible: 계열(Series)은 플롯과 범례에 표시됩니다.
  • Plot: 계열(Series)은 플롯에서만 볼 수 있습니다.
  • Legend: 계열(Series)은 범례에서만 볼 수 있습니다.
  • Hidden: 계열(Series)이 숨겨져 있습니다.

범례 텍스트는 인디케이터(indicator) 계열(Series)의 name 속성을 사용하여 설정됩니다.

Binomo에서 숨겨진 다이버전스가 있는 거래 철수

Binomo에서 숨겨진 다이버전스가 있는 거래 철수

다이버전스는 거래자들이 거래 포지션에 진입하기 위한 최고의 포인트를 찾는 데 종종 사용됩니다. 그것은 무엇이며, 다이버전스의 유형과 거래 방법은 무엇입니까? 이 질문에 대한 답변이 오늘의 기사에서 설명됩니다.

두 가지 유형의 다이버전스

기초 자산의 가격 움직임과 특정 오실레이터의 움직임에 차이가 있을 때 다이버전스를 이야기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스토캐스틱 오실레이터, 이동 평균 수렴 다이버전스, 상대 강도 지수 또는 상품 샤넬 지수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구별되는 두 가지 유형의 분기가 있습니다. 일반 발산과 숨겨진 발산.

규칙적인 발산에 대한 몇 마디

가격은 끊임없이 움직이고 있습니다. 때때로 더 높은 최고점 또는 낮은 최저점을 생성합니다. 이것이 가격 차트에서 발생하지만 지표 라인이 동일하게 표시되지 않으면 다이버전스에 대해 이야기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가격 움직임과 지표의 움직임의 차이는 현재 추세가 약화되고 역전될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는 신호입니다.

그러나 이것이 발생할 수 있는 정확한 순간을 포착하는 것은 어렵습니다. 따라서 추세선이나 촛대 및 차트 패턴과 같은 추가 도구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강세와 약세 다이버전스

고전적 다이버전스는 강세(양수) 또는 약세(음수)일 수 있습니다. 아래에서 USDJPY의 고전적인 약세 다이버전스의 완벽한 예를 볼 수 있습니다.

Binomo에서 숨겨진 다이버전스가 있는 거래 철수

USDJPY 차트에서 상승 추세의 정상 다이버전스

강세 다이버전스는 하락세 동안 나타납니다. 가격은 더 낮은 저점을 생성하지만 오실레이터는 동일한 동작을 확인하지 않습니다. 대신 더 높은 저점 또는 이중 또는 삼중 바닥을 형성합니다. 후자는 더 높은 저점보다 덜 중요하며 스토캐스틱 오실레이터 또는 RSI를 사용할 때 더 자주 발생합니다.

가격이 상승 추세에 있는 동안 약세 또는 음의 다이버전스가 나타납니다. 지표의 움직임에 의해 확인되지 않은 가격 조치에 의해 만들어진 더 높은 고점이 있습니다. 오실레이터는 더 낮은 고점 또는 이중 또는 삼중 고점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숨겨진 발산이란 무엇입니까?

진동 표시기가 저점 또는 고점을 형성하고 가격 움직임이 동일하지 않은 것처럼 보일 때 숨겨진 다이버전스가 발생한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Binomo에서 숨겨진 다이버전스가 있는 거래 철수

클래식(왼쪽)과 숨겨진 다이버전스(오른쪽)

이러한 상황은 가격이 현재 추세 내에서 통합되거나 수정될 때 발생할 수 있습니다. 추세가 이전 방향으로 계속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숨겨진 다이버전스가 연속 패턴이라는 정보를 제공합니다. 따라서 숨겨진 다이버전스를 사용하여 추세와 거래할 수 있습니다. 숨겨진 다이버전스가 있는 풀백을 쉽게 식별할 수 있습니다.

강세와 약세 다이버전스

숨겨진 다이버전스는 클래식과 유사하게 두 가지 유형이 있습니다. 하나는 강세 다이버전스이고 다른 하나는 약세입니다.

상승세 다이버전스는 지표가 낮은 저점을 생성하고 가격이 동일하지 않을 때 나타납니다. 가격이 통합 또는 조정 단계에 있으며 추세 방향이 곧 계속될 것임을 나타냅니다.

Binomo에서 숨겨진 다이버전스가 있는 거래 철수

EURJPY 차트의 상승 추세에 있는 강세 숨겨진 다이버전스

하락 다이버전스는 하락세 중에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오실레이터는 더 높은 고점을 보여주고 가격 행동은 그렇지 않습니다. 조만간 Binomo에서 숨겨진 다이버전스가 있는 거래 철수 하락세가 이어질 전망이다.

Binomo에서 숨겨진 다이버전스가 있는 거래 철수

AUDUSD 차트의 하락세에 숨겨진 다이버전스 약세

Binomo 플랫폼에서 다이버전스로 거래

다이버전스 자체는 거래 포지션에 진입하기 위한 강력한 신호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가격의 미래 방향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규칙적인 다이버전스는 추세 반전을 예측하는 반면 숨겨진 다이버전스는 추세의 지속을 예측합니다.

거래에 가장 적합한 진입점을 확인하려면 추가 기술을 사용해야 합니다. 추세선, 이동 평균 교차 또는 일부 촛대 패턴처럼 간단할 수 있습니다. 다이버전스를 거래 봉투 또는 볼린저 밴드와 결합할 수도 있습니다.

약세 다이버전스는 저항 추세선 근처와 상승 추세 중에 약세 반전 패턴이 나타날 때 더 의미가 있습니다.

강세 다이버전스는 지지 추세선 근처와 하락 추세 중에 강세 반전 패턴이 나타날 때 더 중요합니다.

다이버전스는 가격과 진동 지표의 움직임의 차이입니다. 하나는 하락하거나 상승하고 다른 하나는 그렇지 않을 때 이것이 다이버전스입니다.

발산에는 일반 및 숨겨진 발산의 두 가지 유형이 있습니다. 첫 번째 것은 추세 방향의 가능한 변화에 대해 알려줍니다. 숨겨진 다이버전스는 추세가 조정 또는 단기 통합 이후에 진행될 가능성이 높다는 신호를 제공합니다.

두 유형 모두 하락세 또는 상승세 중에 발생하는지에 따라 강세 또는 약세일 수 있습니다.

진입점을 얻으려면 추가 도구를 사용하십시오.

무료 Binomo 데모 계정에서 다이버전스를 잡는 연습을 하십시오. 실제 거래 계좌에서 추가 수입을 얻으려면 잘 준비하고 자신감을 가져야 합니다.

다이버전스로 거래한 적이 있습니까? 가격 차트에서 두 유형을 모두 인식할 수 있습니까? 사이트 아래에서 더 찾을 수 있는 의견 섹션에 알려주십시오.

스토캐스틱 오실레이터

안녕하세요 밀키스 입니다. 어김없이 월요일이 시작 되었습니다. ^^

메르스 여파로 인해 다들 걱정이 많으실텐데요~ 위기가 곧 기회다. 라는 말이 있습니다.

이번일을 발판 삼아 앞으로는 이런 중대한 일이 발생했을때를 잘대처하는 정부가 되기를 바랍니다.

이번 포스팅은 매매를 할때 쓰는 툴에 대한 이야기를 해볼까 합니다.

혹시 이웃님들께서는 매매툴​ 이라는것을 갖고 있으신가요?

매매툴이란?

① 엑셀 또는 프로그램언어를 이용하여 수치로 구체화시키고 통계를 내어 만든 정형화된 프로그램으로 매매시에 즉시 사용할수 있으며

시세의 변화를 감지하고 예측할수 있게 도와주는 도구 (수동과 자동이 있음)

② 증권사에서 제공하는 HTS내의 보조지표중 하나 또는 여러개를 이용하여 본인만의 원칙을 세운후

시세의 변화를 감지하고 매수시점인 최저점과 매도시점인 최고점을 잡아낼수 있게 도와줌

③ 이동평균선을 이용하여 이동평균선과 일정 거리가 멀어지면 매수 매도 하는 방법

다시한번 쉽게 말씀드리자면

매매를 할때 단순히 가격을 보고 매매를 하는것이 아니라 본인만의 원칙을 가지고 진입 청산을 할수 있는 방법을 갖고 있느냐 라는게 매매툴의 핵심입니다.

가장 핵심은 손실이 나지 않는 시점에서 매수를 할수 있느냐겠지요~

저 또한 매매툴이 있습니다. 우선 보조지표는 스톡캐스틱 slow를 이용 하며 한때는 MACD도 이용을 했었습니다만 지금은 stochastics slow만 이용중입니다.

스택캐스틱이란? (키움증권발췌)

- 일정 기간 동안의 주가 변동폭 중에서 금일 종가의 위치를 백분율로 나타내는 지표로서 주가가 움직이는 특성을 가장 잘 반영하는 지표 중
하나입니다.

- Stochastic Oscillator는 주요 지표인 %K와 %K의 이동 평균 값인 %D로 나누어집니다.

- %K가 20% 이하로 하락 했다가 다시 상승하는 경우 매수 신호이며, 80% 이상으로 상승 했다가 다시 하락하는 경우 매도 신호입니다.

- %K 값이 %D 값을 상향 돌파하여 상승하게 되면 매수 신호이고 하향 돌파하여 하락하게 되면 매도 신호입니다.

- 주가와 %K 추세 사이에 Divergence가 발생하면 곧 추세 전환이 발생하리라는 신호입니다.

위 내용만으로는 스톡캐스틱이 무엇인지 어떻게 활용을 해야할지 이해가 잘 안되시걸 거에요^^

그래서 LG상사라는 종목을 예로 스톡캐스틱을 활용하는 방법과 매매시점은 언제 잡아야하는지 차트를 보며 설명드리겠습니다. ^^

우선 스톡캐스틱값이 보이지 않게 캡쳐전에 셋팅을 하였습니다. 이유는 보조지표를 추가하시면 초기 스톡캐스틱 값이 자동으로 셋팅이되기에

굳이 값을 똑같이 하실 필요도 없으며 스톡캐스틱 값을 변경을 할경우 매매를 해야하는 시점이 달라지게 되며 여러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스톡캐스틱 값은 본인의 성향에 따라 공부를 하셔서 통계를 내고 연습하셔야 하시면 되겠습니다.

자 어떤가요? 그림으로 보니 바로 이해가 되시지요?

2014년 11월에 매수시점이 발생 했고 그이후 대세 상승이 시작되어 8개월간 꾸준히 우상향으로 상승중인 상황 입니다. 현재는 조정구간에 진입했구요

우상향을 하면서 스톡캐스틱은 꾸준히 상승만 하는게 아니라 어느시점에서는 다시 하락을 하고 과매도 권에 진입했을경우에는 다시 상승을 하게 됩니다.

LG상사 스토캐스틱 매매시점

2014년 11월 초 매수신호발생

2014년 12월 초 매도신호 발생

2014년 12월 말 매수시점 발생

2015년 02월 중순 매도신호 발생

2015년 03월 중순 매수신호 발생

2015년 05월 말 매도신호 발생

2015년 6월 현재 매수가능 시점도래중

이것이 스톡캐스틱을 이용한 매매 방법 입니다. 스톡캐스틱을 Binomo에서 숨겨진 다이버전스가 있는 거래 철수 이용하며 주의해야할점이 있습니다.

※스톡캐스틱 이용시 주의사항

① 매수가능 시점에 도래했다고 하여 무작정 매수 금지 -> 최소 보조지표상 2가지 이상의 매수신호 발생시 진입

② 매도 시점에 도래했다고 하여 전량 매도 금지 주가는 한번 추세가 실리면 계속 한방향으로 가려는 성질이 있음

최초 매수 목적에 따라 단기 시세차익실현이 목표 였다면 단기 시세 차익실현해도 무방 다만 중장기 투자였다라면 목표한 가격에서 되도록이면 매도

고가에서 거래량이 발생하지 않았다면 일부만 매도후 물량을 보유 해도 됨

③ 스톡캐스틱만으로 현재 구간을 판단하지 말것, 거래량과 이동평균선 전체 그림을 확인하여 매매시점을 잡을것

④ 스톡캐스틱이 과매도 과매수 구간에 와있다 하더라도 상황에 따라서는 진입을 하지 말아야 할 경우도 있음

일봉상 스톡캐스틱이 한달에 한번 두달에 한번 매수 매도 시점이 나오나 때에 따라서는 6개월간 한구간에 머물러 있는 경우도 있을수 있음

계속 하락을 하면 하락만 하는 경우도 있다는 뜻임

⑤ 스톡캐스틱이 바닥에 있다 하더라도 역배열 구간에서는 진입 금지 역배열이 정배열로 전환되는 시점을 기다렸다가 매수해야 손실이 없음

보조지표를 맹신하여 보조지표만 믿고 매매하는 방법은 여러 위험이 발생 하게 됩니다. 이점 꼭 명심 해주시고~

스톡캐스틱이라는 보조지표를 이해하는대 제 경우 3년이상이 걸렸습니다.

왜 이렇게 오랜기간이 걸렸을까요? 이유는 차트에 표현된 현재의 보조지표는 지나간 과거의 일을 표현해 낸것이기 때문입니다.

그안에 숨어 있는 실제 문제점들 변수들은 지금 우리는 볼수가 없기 때문 입니다.

처음 저도 스톡캐스틱 보조지표를 보고 나서는 와! 정말 쉽고 이렇게 완벽한 보조지표가 있었네? 라는 생각을 갖게 되었습니다.

스톡캐스틱 공부후 승률이 90%이상이라고 말씀드리다면 믿으실수 있으실까요? 하지만 나머지 10%에서 90%에서 번것을

다 토해내는경우도 발생하였다면요?

개인투자자분들이 손실을 보는 이유는 대다수가 비슷합니다. 아무리 잘하시는 고수분이라 할지라도 한번의 판단 실수로 인해

큰손실을 보는대 하물며 직장생활을 하며 별다른 공부를 하지 않는 일반투자자분들은 이런점들을 찾아내기란 쉽지 않은 입니다.

그렇기에 맹신을 하지 말라고 말씀드리는 것입니다. ^^ 너무 진지 했나요 ~

전업투자를 처음 시작했을때 얘기를 해보겠습니다.

처음에는 주식으로 전업투자를 시작하였고 대세하락기가 온이후 더이상 주식으로 돈을 벌기 어려워지자

국내선물 상품만 거래하는 방향으로 전환 하였습니다.

이때는 두가지 툴(엑셀프로그램+MACD)을 이용하여 매매를 하였고 처음에는 성공적 이였습니다.

20일간 하루에 평균 130~150만원을 벌었으니까요 ~ 하지만 자만이 굉장히 큰실수를 낳았고

결국 3일만에 3500만원의 손실을 기록후 다시 복구는 하였으나 저에게 큰 트라우마를 안겨주고 끝이나고 말았습니다.

이 트라우마는 아직도 극복하기에 쉽지 않은 트라우마 입니다. ^^;

그만큼 한가지 지표를 이해하는대에도 많은 시간이 걸린다는 사실! 꼭 공부를 하시고 적용을 하시길 당부 드리는 바입니다.

이번 포스팅을 하며 엑셀 툴을 이용하여 거래하는 방법도 포스팅을 하려 했으나 시간이 여의치 않네요 ~

스토캐스틱 오실레이터

DMI 와 오실레이터(스토캐스틱, RSI)

자신의 기준에서 엄격한 신호와 유연한 신호를 구분할 줄 알아야 한다. 기준을 다시 점검해 볼 필요가 있다.

명확한 기준이 있어야 되고, 그것을 유연하게 다듬어서 어느 시장에도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는 것을 되짚어 본다.

유연하게 적용할 수 있는 것들을 유연하게 대응해야 되지, 결코 명확한 기준을 유연하게 바꿔서는 안 되는 것이다.

예전에는 이 말이 무슨 뜻인지 한참을 고민해야 했다.

오실레이터는 아주 유용하게 사용 중인 지표이다.

몇 가지 큰 착각을 가지고 매매를 하고 있었는데, 과매수와 과매도에 너무 집착을 하게 된다.

계속 과매도 상태에 놓여 있으면 주가가 크게 반등할 것만 같은 느낌이 많이 든다.

그렇게 되다 보면 매매비중도 커지게 된다. 앞으로 사용 방식을 많이 고쳐 나가야 한다.

과매수와 과매도의 기준으로 계속 바라보게 되면, 손절이 어려워진다.

스토캐스틱은 일정기간 동안의 최고가와 최저가 사이에서 현재의 주가의 위치를 백분율로 표시한 지표이다.

빠른 스토캐스틱은 아주 예민하여 속임수 신호가 자주 발생한다. 느린 스토캐스틱은 노이즈를 대부분 걸러 내므로 속임수 신호가 적다.

3가지 매매 신호 중 다이버전스가 가장 강력하고 그다음이 과매수/과매도 , 선의 방향 순이다.

다이버전스 - 스토캐스틱의 다이버전스로도 매매해 볼 수 있다. 상황에 맞게 유연하게 사용할 줄 알아야 한다.

과매수/과매도 - 항상 사용에 주의해야 한다. 하락 시에는 지속적인 매수 신호를 보낸다. 장기 추세추종 지표를 사용해 이를 보완해야 한다. 그리고 이전 고점을 돌파하는지 지켜보라. 그때 사도 늦지 않다. 오히려 더 저렴하게 사는 방법이다.

선의 방향 - %K와 %D가 같은 방향이면 포지션을 정리할 필요가 없다. 좀 더 지켜보라.

상대강도지수 RSI는 일정기간 동안 상승폭과 하락폭을 비교하여, 상승의 힘이 강한지 하락의 힘이 Binomo에서 숨겨진 다이버전스가 있는 거래 철수 강한지 어느 정도 강도인지 백분율로 표시한 지표이다. 스토캐스틱과 마찬가지로 과매수와 과매도에 너무 몰입하지 마라.

RSI의 다이버전스는 신뢰도가 높다. RSI 자체로도 지지와 저항, 추세를 가늠할 수 있다.

매수 신호는 기준선 아래로 떨어졌다가 다시 올라올 때이다.

자신에게 맞는 지표를 찾아서 객관적으로 시장을 바라보려고 해야 한다.

현재 시장에 맞는 지표를 찾으려고 이것저것 대입해서는 안된다. 이렇게 하면 시장을 올바르게 바라볼 수 있는 눈을 가질 수 없다. 자신에게 맞는 지표를 분석해서 내 것으로 만들어야 한다. 누구보다도 더 잘 알 수 있는 수준까지 익혀야 한다. 그제야 자신만의 기준, 홀로서기를 할 수 있다.


0 개 댓글

답장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