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JFEZ 광주경제자유구역청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이끌어 갈 세계적 수준의 국가 AI 데이터센터 구축으로 인공지능 광주시대를 열어갑니다.
- 투자제안서(사업계획서) 제출
- 투자의향서(LOI) 제출
- 실행능력 증빙자료 제출
- 투자가 투자 제안서 및 컨소시엄 참여 업체들의 Business Information Memorandum
- 사업관련 각종 정보 제공
- 사업의 목표 및 배경
- 개발계획(컨셉설정, 도입시설, 개발전략, 건축계획∙도면 등)
- 재원조달 및 투입계획 : 자기자본, 타인자본
- 사업시행방안 및 구조
- 사업성 분석결과 및 파급효과
- Project Management
- 자금회수 및 상환계획
- 관리∙ 운영 방안
- 희망할 경우 국내파트너 소개
- 시행⋅시공, 법무, 회계, 컨설팅, 금융기관 등
- 투자제안서의 타당성 분석 및 적정성 심의
- 투자가의 실행능력 검증
- 실행 능력이 있다고 인정될 경우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
- 신용조회 실시
- Consortium 참여업체 의지 및 자금조달 가능성 확인(결정권자와의 면담 등)
- 협의에 의한 협상 아젠다 설정
- 투자에 관한 원칙 합의(MOU 또는 실시협약 기본협약)
- 투자 선행절차 이행 : 시행조직 구성 완료 등
- 사업시행자 지정 : 외국기업 또는 컨소시엄
- 투자절차 이행
①투자신고 ②초기자금 도입 ③자본금납입 ④SPC설립 또는 지사설치 ⑤외투기업등록
- 토지감정평가
- 토지계약 및 계약금 납부
- 잔금납부 후 소유권등기 이전
- 국․공유재산 매각 및 대부의 수의계약
- 장기납부, 임대료 감면 등
[61003] 광주광역시 북구 삼소로 270번길 25(월출동)
대표전화 062)613-6025Copyright © 2021 Gwangju Free Economic Zone Authority. All Rights Reserved.
투자 제안서 란 무엇입니까?
투자 제안서는 잠재적 투자자가 회사 또는 프로젝트와 상호 유익한 비즈니스 관계를 맺도록 동기를 부여하기 위해 준비된 문서 유형입니다. 아이디어는 투자자 또는 대출 기관이 회사 또는 프로젝트의 가치를보고 투자와 관련된 잠재적 보상을 이해하며 다음과 같은 문제를 해결 및 해결하는 데 도움이되는 정보를 제공하는 데 도움이되는 정보를 제안서 내에 포함시키는 것입니다. 투자자들은 그 활동을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유형의 제안은 광범위한 투자자를 다루기위한 일반적인 문서로 준비되거나 단일 투자자의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준비 및 사용자 정의 된 문서이거나 엘리트 천사 그룹의 엘리트 그룹 일 수 있습니다.
투자 제안서의 사용은 광범위한 투자 기회에서 일반적입니다. 신생 기업은 투자자를 유치하고 사업을 시작하는 투자 제안서 데 필요한 자금을 확보하고 판매 수익을 창출하기 시작할 때까지 노력을 유지하기 위해 이러한 유형의 프레젠테이션을 투자 제안서 준비 할 수 있습니다. 설립 된 회사는 이러한 유형의 제안을 활용하여 확장 프로젝트 또는 신제품 출시를 지원할 투자자를 유치 할 수 있습니다. 지방 자치 단체는 프로젝트를 구축하거나 지역 사회의 다른 개선을 위해 돈을 모으는 데 도움이 될 채권 문제에 대한 투자의 이점을 보여주기 위해 투자 제안서를 준비 할 수 있습니다.
투자 제안의 범위에 상관없이,이 문서에는 보통 투자자에게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기위한 몇 가지 주요 섹션이 포함됩니다. 텍스트는 일반적으로 투자 기회의 성격에 대한 데이터로 시작하며 일반적으로 기회가 어떻게 발생했는지에 대한 배경과 역사를 제공합니다. 여기에서 제안은 기회가 어떻게 구성 될지에 대한 메커니즘을 다루며 벤처로부터 수익을 창출 할 수있는 방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텍스트는 투자자가 어떤 종류의 수익을받을 것으로 예상 할 수있는시기, 투자자의 지분을 보호하기 위해 취해질 보안 조치의 성격, 각 상황에 초점을 맞춘 일정까지 포함하여 발생하는 이벤트 일정을 포함합니다. 이자 지불을 예상 할 수 있으며 주요 투자 상환 방법.
투자 제안의 범위 내에서 프로젝트에 대한 이의 제기와 관련된 일부 데이터가 있습니다. 여기서 목표는 투자자의 우려 가능성을 사전에 해결하고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확산시킬 수있는 방법을 나타내는 사실적인 데이터를 제공하는 것입니다. 여기에는 경제의 변화가 프로젝트의 성공에 미칠 수있는 영향, 투자자의 이익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될 수있는 다른 수입원,이 특정 기회가 시장의 유사한 기회와 비교되는 방식에 대한 우려가 포함됩니다.
투자 제안의 궁극적 인 목표는 충분한 성공을 거둘 수있는 충분한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충분한 자원으로 프로젝트에 자금을 지원할 충분한 투자자를 유치하는 것입니다. 투자 제안서가 진행중인 작업으로 간주되는 것은 드문 일이 아니며, 제안서 작성자가 투자자의 마음에 무엇이 있는지에 대한 더 많은 데이터가 제공되므로 텍스트를 수정합니다. 지불 금액과 프로젝트의 메커니즘과 같은 기본 사항은 일반적으로 동일하지만 추가 데이터가 추가되어 문서의 일부 섹션이 더 명확하고 간결 해 지도록 수정 될 수 있습니다. 투자자들과 연결하고 궁극적으로 지원을받을 가능성을 높입니다.
투자 제안서
새만금은 새만금특별법, 외국인투자촉진법, 경제자유구역지정 및 운영에 관한 법률에 의해 공장신설 직접투자, 개발사업의 시행, 지분투자 자본재 도입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 실행능력 증빙자료 제출
- 투자가 및 컨소시움 참여 업체들의 business information memorandum
(회사현황,실적,재생상태,조직,내부협약서 등) - 재원조달계획 및 금융기관이 발행한 증빙자료 등
- Feasibility study 실시 지원
- Site survey 등 물리적 환경 및 투자여건 조사안내
- Risk Factor에 대한 자료 제공
(Approval, Management 등에 대한 위험요소)
- 사업의 목표/배경
- 개발계획 (컨셉설정,도입시설,개발전략. 건축계획)
- 재원조달 및 투입계획
- 타인자본, 자기자본
- 사업공정관리계획
- Risk Management
- 부정적 효과의 저감방안
- 부지/시설관리/처분/판매
- Brand 및 Tenant 유치 등
- 투자제안서 작성 요령 안내
- 희망할 경우 국내파트너 소개
- 시행/시공
- 법무/회계/컨설팅/금융기관 등
- 사업계획서의 타당성 분석 및 적정성 심의
- 투자가의 실행능력 검증
- 실행력이 있다고 판단될 경우
- 우선협상대상자 지정
- 사업시행방법의 적정성 검토
- 산업계획의 타당성,실현성,안정성 평가
- Consortium 참여업체 의지 및 자금조달 가능성 확인
- 협상 아젠다 설정 및 협상 추진
- 투자에 관한 원칙 합의
- 타인자본, 자기자본
- 예측 가능한 Negotiation Agenda 설정으로
- 기간단축 및 행정비용 최소화 방안 강구
- 투자선행절차 이행 : 시행조직 구성 등
- 사업시행자 지정 (외국기업 혹은 컨소시엄)
- 투자절차 이행
- 투자신고, 초기자금 도입,자본금 납입
- SPC 설립 또는 지사 설치, 외투기업 등록
- 투자절차 지원 및 업무대행
- SPC 설립에 관한 안내
- 법무,회계/세무에 관한 자문
- 외자도입 및 투자목적물 도입사항 안내
- 분양가 산정(토지감정평가 or 조성원가)
- 토지계약 및 계약금 납부
- 잔금납부 후 소유권 이전 등기
- 임대의 경우 대부료 감면
- 토지취득 관련 세제 감면
- 매입 시 장기납부방안 검토
- 환경영향평가 실시 및 실시계획 승인
- 설계 및 건축심의 인허가 취득
- 인허가사항 의제처리 (일괄서비스 지원)
- 사업별 전담지원 체제 운용
- Project manager 지정 투자여건 조사안내
Step1 투자의향 표현 (LOI 제출)
- 실행능력 증빙자료 제출
- 투자가 및 컨소시움 참여 업체들의 business information memorandum
(회사현황,실적,재생상태,조직,내부협약서 등) - 재원조달계획 투자 제안서 및 금융기관이 발행한 증빙자료 등
- Feasibility study 실시 지원
- Site survey 등 물리적 환경 및 투자여건 조사안내
- Risk Factor에 대한 자료 제공
(Approval, Management 등에 대한 위험요소)
Step2 투자제안서 제출
- 사업의 목표/배경
- 개발계획 (컨셉설정,도입시설,개발전략. 건축계획)
- 재원조달 및 투입계획
- 타인자본, 자기자본
- 사업공정관리계획
- Risk Management
- 부정적 효과의 저감방안
- 부지/시설관리/처분/판매
- Brand 및 Tenant 유치 등
- 투자제안서 작성 요령 안내
- 희망할 경우 국내파트너 소개
- 시행/시공
- 법무/회계/컨설팅/금융기관 등
Step3 투자제안서 심의
- 사업계획서의 타당성 분석 및 적정성 심의
- 투자가의 실행능력 검증
- 실행력이 있다고 판단될 경우
- 우선협상대상자 지정
- 사업시행방법의 적정성 검토
- 산업계획의 투자 제안서 타당성,실현성,안정성 평가
- Consortium 참여업체 의지 및 자금조달 가능성 확인
Step4 Negotiation
- 협상 아젠다 설정 및 협상 추진
- 투자에 관한 원칙 합의
- 타인자본, 자기자본
- 예측 가능한 Negotiation Agenda 설정으로
- 기간단축 및 행정비용 최소화 방안 강구
Step5 사업시행자 지정
- 투자선행절차 이행 : 시행조직 구성 등
- 사업시행자 지정 (외국기업 혹은 컨소시엄)
- 투자절차 이행
- 투자신고, 초기자금 도입,자본금 납입
- SPC 설립 또는 지사 설치, 외투기업 등록
- 투자절차 지원 및 업무대행
- SPC 설립에 관한 안내
- 법무,회계/세무에 관한 자문
- 외자도입 및 투자목적물 도입사항 안내
Step6 토지계약
Step7 사업인허가 취득
- 환경영향평가 실시 및 실시계획 승인
- 설계 및 건축심의 인허가 취득
- 인허가사항 의제처리 (일괄서비스 지원)
- 사업별 전담지원 체제 운용
- Project manager 지정 투자여건 조사안내
Step8 개발 착공
투자 제안서
잠깐! 현재 Internet Explorer 8이하 버전을 이용중이십니다. 최신 브라우저(Browser) 사용을 권장드립니다!
- 뉴스앤잡
- 승인 2021.03.22 10:02
- 댓글 0
투자유치용 사업계획서 및 투자제안서의 작성원칙과 주안점! IR 등 직접적인 투자유치를 위해 투자제안서를 작성하거나 또는 투자유치용 사업계획서를 작성함에 있어 가장 중요한 원칙과 원칙별 세부적인 유의사항을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투자유치의 성공확률에 보다 더 근접할 수 있는 투자제안서와 투자유치 사업계획서 작성방법은 무엇인지 그리고 작성 시 주요 유의하여야 할 투자 제안서 주안점은 무엇이며, 중요 원칙들을 유지하면서 어떻게 컨셉과 방향을 잡고서 투자제안서나 투자유치 사업계획서를 작성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 경영능력이 투자결정의 주요 요인이다.
얼마전 '사람이 먼저다'라는 한 대통령 후보의 선거캠페인 문구처럼 투자유치 사업계획서, 투자제안서에서도 마찬가지다. 인사노무, 생산, 재무, 마케팅 이러한 경영의 하부시스템을 움직이고 방향을 잡는 것은 기계가 아닌 바로 CEO 및 경영진 그리고 기술진이다. 이러한 경영진들의 특화되고 전문화된 경영능력과 경험, 식견, 태도, 경영관, 인생관, 조직관 등 모든 부분이 투자를 하고자하는 잠재 투자자들에게는 사실상 중요한 평가요소가 된다. 아무리 시장성과 기술성, 수익성이 높게 예상되더라도 경영자로서의 능력과 태도가 결정적인 요소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영능력을 주의깊게 강조해야하는 점은 투자유치 사업계획서나, IR 등을 통한 투자제안서 작성시 중요한 원칙 중에 하나이다.
■ 투자 대상기업의 사업 특수성을 선호한다.
즉, 치열한 경쟁사회에서 남들과 비슷하거나 치열한 경쟁상품군에서 그저 특이할 만한 사업아이템이 아니라면 투자자들은 큰 관심을 처음부터 보이지 않는다. 특이할 만한 사업아이템이란 경쟁속에서도 남다른 특화되고 차별화된 점이 있거나 아니면 경쟁이 아직 없거나 덜한 잠재시장을 가진 블루오션 사업아이템을 말한다.
따라서 투자대상기업의 사업 아이템이 남다른 시장 및 산업구조와 전망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사업특수성과 경쟁우위를 강조할 수 있도록 투자유치 사업계획서(IR 투자제안서 등)를 작성하는 것 역시 매우 중요한 원칙이자 핵심내용의 하나이다.
■ 계획사업이 시장 지향적이어야 한다.
투자유치를 희망하는 기업은 자사의 추진 사업의 시장규모와 전망, 기술수준 및 트렌드 등을 고려하면서 나름대로의 지속가능한 시장 포지셔닝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근거가 없거나 막연히 희망적인 낙관만 열거된 투자유치 사업계획서(IR 투자제안서)는 다른 부분 또는 전체 기업의 이미지와 신뢰를 흐리게 할 수 있다.
■ 투자유치 사업계획서(투자제안서)의 수치는 객관적이여야 한다.
투자유치 사업계획서는 현실적으로 가능한 일반 다른 투자대안들보다 투자에 따른 기대수익률(투자수익률)이 높아야 한다.그렇다고 재무추정치를 장밋빛으로 물들게 해서는 안된다. 실현가능한 계획을 통한 매출액과 이익 등의 재무수치들을 누가 보더라도 타당성있고 객관적으로 나타내야 한다.
가능하다면 매출 및 이익,손익 등의 산출 및 계산근거를 명기하는 등 투자자들에게 깊은 신뢰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것 또한 투자유치 사업계획서(IR 투자제안서)의 중요한 작성상의 원칙이다.
■ 투자 및 회수방법은 전략적으로 한다.
투자자들은 자신들의 주머니에서 투자한 금액이 어떤 용도로, 언제 사용되는지 궁금해 한다.그리고 더 중요시 하는 것은 투자 및 회수는 향후 어떻게 되는가 하는 것이 그들에게 가장 큰 이슈가 될 것이다. 주식, 전환사채(CB), 신주인수권부사채(BW), 코스닥, Buy-back, 자본 및 이익잉여금의 결산 이익배당(무상주, 주식배당) 등 방법이 아주 구체적이지 않더라도 그 윤곽이 어느 정도 분명히 되어 있는것을 선호한다는 사실을 유의하여 IR 투자제안서 및 투자유치 사업계획서를 작성할 필요가 있다.
- 투자가 및 컨소시움 참여 업체들의 business information memorandum
- 투자가 및 컨소시움 참여 업체들의 business information memorandum
0 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