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한국 외환 가이드 및 성공법
Hancom PDF 1.3.0.443
Hancom PDF 1.3.0.443 2022-06-10T11:09:53+09:00 2022-06-10T11:09:53+09:00 2022-06-10T11:09:53+09:00 application/pdf YoonJoo 설립 2022-06-10T11:09:53+09:00 704E5B4C-73F0-4995-8743-A1C54A1FE443 uuid:1DEB3F52-285A-414C-8710-541717FF8280
endstream endobj 66 0 obj 2596 endobj 67 0 obj 679 endobj 68 0 obj 2199 endobj 69 0 obj 13 endobj 70 0 obj 256 endobj 71 0 obj 680 endobj 72 0 obj 54050 endobj 73 0 obj 13 endobj 74 0 obj 2417 endobj 75 0 obj 685 endobj 76 0 obj 23030 endobj 77 0 obj 14 endobj 78 0 obj 1176 endobj 79 0 obj 1515 endobj 1 0 obj > endobj 2 0 obj > /Lang(ko-KR) /PageLayout /SinglePage /Metadata 65 0 R /OutputIntents [8 0 R ] >> endobj 3 0 obj > >> endobj xref 0 80 0000000000 65535 f 0000127088 00000 n 0000127197 00000 n 0000127352 00000 n 0000030915 00000 n 0000031134 00000 n 0000031224 00000 n 0000033902 00000 n 0000033936 00000 n 0000003487 00000 n 0000000015 00000 n 0000034089 00000 n 0000034158 00000 n 0000034317 00000 n 0000034386 00000 n 0000034551 00000 n 0000034620 00000 n 0000000174 00000 n 0000034780 00000 n 0000008240 00000 n 0000003583 00000 n 0000003743 00000 n 0000034801 00000 n 0000012649 00000 n 0000008337 00000 n 0000008497 00000 n 0000034822 00000 n 0000017275 00000 n 0000012746 00000 n 0000012906 00000 n 0000034843 00000 n 0000021791 00000 n 0000017372 00000 n 0000017532 00000 n 0000034864 00000 n 0000026356 00000 n 0000021888 00000 n 0000022048 00000 n 0000034885 00000 n 0000027183 00000 n 0000026453 00000 n 0000026613 00000 n 0000034906 00000 n 0000030818 00000 n 0000027267 00000 n 0000027427 00000 n 0000034926 00000 n 0000034947 00000 n 0000035161 00000 n 0000035925 00000 n 0000038234 00000 n 0000038325 00000 n 0000038602 00000 n 0000038936 00000 n 0000039151 00000 n 0000039916 00000 n 0000094078 00000 n 0000094169 00000 n 0000096211 00000 n 0000098706 00000 n 0000098926 00000 n 0000099696 00000 n 0000122837 00000 n 0000122929 00000 n 0000123948 00000 n 0000125202 00000 n 0000126802 00000 n 0000126823 00000 n 0000126843 00000 n 0000126864 00000 n 0000126883 00000 n 0000126903 00000 n 0000126923 00000 n 0000126945 00000 n 0000126964 00000 n 0000126985 00000 n 0000127005 00000 n 0000127027 00000 n 0000127046 00000 n 0000127067 00000 n trailer ] >> startxref 127429 %%EOF
Invest Korea
(서울=연합뉴스) 김유아 기자 = 작년 국내 증권시장에 유입된 외국인 투자자금 규모가 12년 만의 최대치를 기록했다.
주식시장에서는 차익 실현 등으로 매도세가 우위였지만 채권시장에서 공공자금을 중심으로 매수세가 크게 확대된 영향이다.
작년 12월에는 경기 개선 기대감이 반영되며 외국인 투자자금의 유입 폭이 더 커졌다.
한국은행이 13일 발표한 '국제금융·외환시장 동향'에 따르면 2021년 1∼12월 외국인의 국내 증권 투자자금은 387억1천만달러가 순유입됐다. 한국 증권시장에 들어온 자금이 빠져나간 자금보다 많았다는 뜻이다.
이는 2009년(421억5천만달러) 이후 가장 큰 규모다.
작년에 유입된 외국인 투자자금을 지난 12월 말 원/달러 환율(1,188.8원)로 단순 환산하면 46조185억원이다.
이 중 주식시장에서는 174억4천만달러(약 20조7천327억원)가 순유출됐다. 2019년에는 2022 한국 외환 가이드 및 성공법 20억달러 순유입됐지만 코로나19가 확산하기 시작한 2020년에는 182억4천만달러 빠지며 순유출로 전환했다.
하지만 채권시장에서는 순유입 폭을 키웠다.
작년 외국인 채권 투자자금은 561억5천만달러(약66조7천511억원)를 기록, 2020년 217억1천만달러에서 두 배 이상 불었다.
한은 관계자는 "주식시장에서 2020년엔 코로나19로 단기 유출이 있었고, 2021년에는 주가가 오르며 차익을 실현한 영향이 컸다"라면서 "채권시장의 경우 신용등급이 비슷한 다른 국가보다 국채 금리가 높다 보니 해외 중앙은행이나 2022 한국 외환 가이드 및 성공법 국부펀드 등 공공자금을 중심으로 유입이 많아졌다"라고 설명했다.
작년 12월 중 외국인의 국내 주식 투자자금을 살펴보면 36억9천만달러(약 4조3천867억원) 순유입됐다.
한은은 "업황이 나아질 것이라는 기대 등으로 반도체 관련 기업을 중심으로 순유입 폭이 커졌다"고 설명했다.
외국인 채권 투자자금은 48억5천만달러(약 5조7천657억원) 순유입돼, 전월(26억2천만달러)보다 유입 폭이 크게 확대됐다.
채권 투자자금은 지난해 12개월 내내 순유입을 유지하며, 2011년 9개월(2∼10월) 연속 순유입을 나타낸 이후 최장기록을 이어가고 있다.
이에 따라 주식과 채권을 합한 전체 외국인 증권 투자자금은 85억4천만달러(약 10조1천523억원) 순유입됐다. 증권 투자자금은 주식 투자자금의 흐름과 함께 지난달부터 순유입세를 유지하고 있다.
한국 국채(외국환평형기금채) 5년물의 신용부도스와프(CDS) 프리미엄은 지난달 월평균 21bp(1bp=0.01%포인트)로, 11월보다 2bp 올랐다.
CDS는 채권을 발행한 국가나 기업이 부도났을 때 손실을 보상해주는 일종의 보험 성격의 금융파생상품이다. 해당 국가 경제의 위험이 커지면 대체로 프리미엄도 올라간다.
고명환은 오전 6시 30분에 일어나자마자 이불을 갰다. 그는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이라며 "이불 개는 행위가 '오늘 하루를 살아줄게' 이 느낌이 든다"고 그 이유를 설명했다.
이어 고명환은 하루 30분씩 소리 내어 책을 읽고 필사를 하고 영자 신문 등을 읽었다.
이후 아내와의 애틋함도 과시했다. 아내 임지은은 일어나자마자 고명환의 귀를 마사지 해주는가 하면 "9년 살았는데 9일 산 것 같다"고 말하는 등 각별함을 보였다. 고명환 역시 "계속 신혼 같은 느낌"이라고 말했다.
부부는 차를 타고 운영하고 있는 식당으로 향했다. 고명환은 출발하며 "감사합니다. 10억 벌었습니다"라고 외쳤다. 그는 "올해는 딱 10억 벌려고 한다"고 목표를 밝혔다.
고명환은 임지은을 고깃집에 데려다주고 메밀국수 집으로 향했다. 고명환은 점심 장사를 끝내고 고깃집으로 향했다. 부부는 현재 식당 두 곳을 운영하고 있다.
한편 1994년 KBS 대학개그제에서 금상을 수상한 고명환은 1997년 MBC 공채 8기 개그맨으로 정식 데뷔했다. 활발한 활동을 이어가던 2005년 촬영을 마치고 귀가하던 중 눈길에 차가 미끄러지며 15t 트럭을 받은 뒤 중앙분리대에 충돌하는 사고를 겪었다. 당시 갈비뼈와 광대뼈 골절, 뇌출혈 증세까지 보인 그는 이틀 안에 죽는다는 선고를 받았다. 다행히 건강을 회복한 고명환은 이후 2014년 KBS 특채 연기자로 데뷔한 배우 임지은가 결혼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이 시간 핫 뉴스
'13세 차' 정준♥김유지, 결별설…럽스타 사진 삭제
차준환 "난 모태솔로…김연아 연애 어떻게 아냐"
고명환 "34살에 교통사고로 시한부→올해 10억 목표"
'섭섭한데요' 강태오, 9월 20일 군입대 소식 알려
30대 男 인천공항서 중요부위 자해…봉합수술 중
'13세 차이' 정준♥김유지, 결별설…커플 사진 삭제
기사등록 2022/09/01 13:39:08
[서울=뉴시스]전재경 기자 = 배우 정준이 결별설에 휩싸였다.
정준의 연인으로 알려진 김유지는 1일 인스타그램에 "인스타 오랜만"이라는 글과 함께 근황이 담긴 사진을 올렸다.
김유지가 SNS 활동을 재개한 것은 지난 2월 이후 6개월 만이다. 다만 그의 소셜미디어에 올라와 있던 정준의 사진은 모두 삭제된 상태다.
정준도 올해 들어 김유지와 관련된 게시물은 한 번도 올리지 않았다. 두 사람 모두 댓글창도 폐쇄한 상태다. 이를 두고 두 사람이 결별한 것 아니냐는 추측이 나오고 있다.
정준과 김유지는 지난 2019년 TV조선 '연애의 맛3'를 통해 13세 나이 차를 극복하고 연인으로 발전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이 시간 핫 뉴스
'13세 차' 정준♥김유지, 결별설…럽스타 사진 삭제
차준환 "난 모태솔로…김연아 연애 어떻게 아냐"
고명환 "34살에 교통사고로 시한부→올해 10억 목표"
'섭섭한데요' 강태오, 9월 20일 군입대 소식 알려
30대 男 인천공항서 중요부위 자해…봉합수술 중
'라스' 차준환 "난 모태솔로…대시 받아봐"
기사등록 2022/09/01 09:35:08
[서울=뉴시스]김현숙 인턴 기자 = 피겨스케이팅 선수 차준환이 모태 솔로가 된 배경을 이야기했다.
지난달 31일 방송된 MBC TV 예능물 '라디오스타'에서는 '라스온 킹' 특집으로 가수 김완선·그룹 '오마이걸' 미미·피겨스케이팅 선수 차준환·방송인 파트리샤·조나단과 함께 했다.
이날 MC 김구라는 "피겨계에 좋은 소식이 있지 않냐. 내부 사정을 알고 있냐"고 말문을 열며 고우림♥김연아 커플을 언급했다. 이에 차준환은 "저도 연애 못 해봤는데 남의 연애를 어떻게 아냐. 모른다"며 울컥해 웃음을 자아냈다.
또한 차준환은 최근 고뇌에 빠졌다고. 그는 "제가 제가 전에 모태 솔로라고 밝힌 적이 있는데 그때부터 누구를 만나기만 하면 '진짜 모태 솔로냐'고 하신다. 그래서 '내가 왜 모태 솔로'일까 생각을 해 봤는데 제가 학교를 남중·남고를 나왔다"고 밝혔다. 이성을 대하는 거는 "아무래도 스포츠가 여자선수 비율이 많아 어렵지 않다"고 덧붙였다.
이에 MC 유세윤이 "주변에 대시 없었냐"고 묻자 차준환은 "있었다"고 답하자 김구라는 "있었지만 마음에 안 들어 거절한 것"이라고 말했다. 차준환은 "사실 지금껏 직업에 몰두한 채 살아와서 그런 생각을 못하고 되게 바쁘게 살아왔다"고 설명했다.
취미 생활도 딱히 없다는 차준환은 "제가 드라마도 안 보고 피겨 종목도 남녀 듀엣이 아닌 싱글만 나간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차준환은 이상형으로 "저처럼 밝고 긍정적이면서 (연애 할 때는) 다른 일을 하는 분을 만나고 싶다"고 밝혔다.
자본시장연구원
VaR를 이용한 환위험 관리, LG경제연구원 연구보고서, 1997
실물옵션(Real Option) 을 이용한 IT 기업의 가치평가,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2004
KOSPI200 지수의 상태가격 밀도 비교분석, 증권학회지 2005년 34권 2호
실현변동성 추정과 일간변동성을 고려한 KOSPI200지수 옵션가격, 증권학회지 2005년 34권 2호
국민연금기금 위탁운용 주식벤치마크에 관한 연구, 국민연금연구원 연구보고서, 2006
국민연금기금 내부 및 위탁운용 스타일 분석 및 벤치마크 분포 연구, 국민연금연구원 연구보고서, 2006
한국 외화자금시장 유동성 위기의 특징과 외환시장에의 영향분석, 자본시장연구원 연구보고서 11-02, 2011
DMA 개요와 국내외 현황, 자본시장연구원 이슈페이퍼 11-05, 2011
글로벌 거래소 변화양상과 시사점, 자본시장연구원, 연구보고서 12-05, 2012
Characteristic Factors and Fund Evaluation in Korea, Emerging Markets Finance 2022 한국 외환 가이드 및 성공법 & Trade, Volume 49, September-October 2013
Deviation from Covered Interest Parity in Asian Foreign-Exchange Swap Markets during the Financial Crisis of 2007-2009, Asian Capital Market Development and Integration –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Oxford University Press, 2014
주식시장 분할에 따른 시장구조 변화와 감독 및 규제체계 시사점, 자본시장연구원 조사보고서 14-02, 2014
ESG 평가체계 현황과 특성 분석, 자본시장연구원 이슈보고서 21-09, 2021
연구용역 수행
LG 그룹 외환위험의 측정과 대응방안, LG 그룹, 1996
LG 그룹 해외 금리변화에 대한 위험과 대응방안, LG 그룹, 1997
주식워런트(ELW)시장 발전을 위한 연구, 2008, 한국증권연구원 학술연구용역
ETF 상장을 위한 벤치마크지수 연구 및 산출, FnGuide, 2007
- 거래소 상장 ETF 중 KODEX 중대형성장, KODEX 중대형가치, KODEX 중형가치, TIGER 순수가치, TIGER 중형가치, KOSEF 대형가치, KOSEF 중형순수가치, TREX 중소형가치, KODEX 삼성그룹, KOSEF 블루칩, KOSEF 고배당 지수 개발 및 산출
거래소 해외지수선물 상장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거래소 학술연구용역, 2008
국내 자본시장과 외환시장간 연계성 증가의 파급효과 분석, 금융위원회 학술연구용역, 2009
신성장동력기업 코스닥시장 상장 활성화 방안, 한국거래소 학술연구용역, 2009
자본시장 경쟁력 강화방안, 국가경쟁력강화위원회 학술연구용역, 2009
외환시장 안정화 증진을 위한 제도적 보완방안 연구, 기획재정부 학술연구용역, 2009
한국 외환위기의 중장기 발전방안, KAIST 금융전문대학원 연구용역, 2009
금융거래세 관련 국제 논의 동향 조사 및 시사점 연구, G-20 정상회의 준비위원회 학술연구용역, 2010
세계 자본시장의 IT 인프라 선진화와 국내시장 발전전략, KOSCOM 학술연구용역, 2010
우선주 상장제도 개선방안, 한국거래소 의뢰과제, 2010
국내외 자본시장 환경변화에 대응한 발전방향, 한국거래소 학술연구용역, 2011
고빈도매매 호가의 시장에 대한 영향분석, 한국거래소 학술연구용역, 2011
Broadening the Scope of Asian Bond Market Initiative under ASEAN+3, Asian Development Bank, 2012
자본시장을 통한 초기단계 성장기업 지원방안, 한국거래소 학술연구용역, 2012
통합시세분배에 대한 효율적인 구축방안 및 기대효과 연구, KOSCOM 학술연구용역, 2013
대규모 기금의 자산운용평가 개선방안 연구, 기획재정부 학술연구용역, 2014
세미나 주제발표 및 기고
매경-에프앤가이드 Style Index 설명 및 활용전략, 매일경제신문사 주최, 2006
펀드 보유 내역에 기초한 유형분류와 평가, 펀드 유형분류와 평가방법 세미나, 애프엔가이드, Korea GIPS Committee 주최, 2008
외환보유액, 다다익선이 최선은 아니다, 조선일보 기고, 2009
Capital Flows to Asia: Issues, Challenges, and Implication for Financial Stability, 자본시장연구원, Asian Development Bank 공동 주최 컨퍼런스, 2010
파생상품 규제논의와 정책과제, 한국국제금융학회 정책세미나, 2010
글로벌 금융안정망 확충의 배경과 의미, 중앙일보 기고, 2010
글로벌 금융안정망 논의 배경과 의미, 서울경제신문 기고, 2010
High Frequency Trading in KRX and Market Quality, Trading Architecture Asia 2011 Conference, Hong Kong, 2011
Financial Integration and Capital Flow Volatility in Emerging Asia, Asian Development Bank Asia Capital Markets Monitor Launch Seminar, Bangkok, 2011
DMA의 현황과 과제, 증권사랑방, 한국증권학회, 2011
거래시장 접근성 제고에 따른 규제 방향, 한국경제신문 기고, 2011
기술발전에 따른 알고리즘 및 고빈도매매 증가와 규제환경의 변화, 2011 건전증시 포럼, 한국거래소 시장감시위원회, 2011
국제금융시장에서의 고빈도거래 현황 및 영향, 2011년도 한국은행 및 외환중개협의회 공동세미나, 한국은행, 2012
중소기업을 위한 전문투자자시장이란 무엇인가요? 조선일보 기고, 2012
Global and Regional Financial Market Integration – Asian Capital Market, Asian Development Bank, Korea Capital Market Institute, Peterson Institute of International Economies Joint Seminar, Washington DC, 2012
KONEX 설립을 위한 시장 설계 방안, KONEX 설립을 위한 공청회, 금융위원회, 2012
대외활동
- 금융개혁위원회 자문위원 (1997~1998)
- 기획예산처 기금평가단 연금평가반 평가위원 (2008)
- 국민연금 리스크관리위원회 위원 (2009.3~2011.3)
- 사학연금 리스크관리위원회 위원 (2009~2012)
- 금융위원회 금융발전심의회 글로벌 금융분과 위원 (2010.3~2011.3)
- 금융감독원 거시건전성분석 자문위원 (2010.3~2011.3)
- 한국국제통상학회 이사 (2011.1~2011.12)
- 한국거래소 코스닥시장본부 상장폐지실질심사위원 (2011.1~2012.5)
- 방송통신발전기금 위험관리위원회 위원 (2011.5~2015.12)
- 대신증권 사외이사 (2011.5~2016.2)
- 한국무역보험공사 금융자산운용위원회 위원 (2012.2~2016.9)
- 한국거래소 코스닥발전협의회 위원 (2012.6~2013.6)
- 금융위원회 자체평가위원회 위원 (2013.1~2015.12)
- 기획재정부 복권기금사업 성과평과 위원(2014~2016)
- 기획재정부 정책성과평가위원회 위원 (2014.6~2015.6)
- 한국재무학회 부회장 (2014.10~2015.10)
- 한국증권학회 이사 (2015.3~2019.12)
- 한국거래소 주가지수운영위원회 위원 (2015.2~2017.2)
- 증권금융 민간연기금투자풀 운영위원회 위원 (2015.3~2017.2)
- 한국상장회사협의회 자문위원단 위원 (2015.6~2018)
- 코스닥협회 금융·재무 자문위원회 위원 (2015.9~2018)
- 기획재정부 기금운용평가단 평가위원 (2016)
- 기획재정부 투자풀운용위원회 민간위원 (2019.8~2021.8)
- 금융감독원 ‘금융감독연구’ 수석편집위원 (2019.10~現)
- 기획재정부 기금부담금운용평가단 단장 (2021.2~現)
- 금융감독원 금융감독자문위원회 금융투자분과 위원장 (2021.4~現)
- 한국거래소 시장감시위원회 위원 (2021.10~現)
- 기획재정부 공공자금관리기금운용위원회 민간위원 (2021.11~現)
0 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