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ME 주간 데이터 | 블록미디어

마지막 업데이트: 2022년 6월 1일 | 0개 댓글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출처 : 네이버 블로그 https://blog.naver.com/uscpalicense/220502226992

기관투자자 비트코인 숏 포지션 감소…선물 미결제약정 증가–CME 주간 데이터

기관투자자 비트코인 숏 포지션 감소…선물 미결제약정 증가–CME 주간 데이터

미국 상품선물거래위원회(CFTC)가 발표한 시카고상품거래소(CME) 비트코인 선물 미결제약정은 4월 12일 9604 건에서 4월 19일 9773 건으로 증가했다.

장기 투자 펀드는 롱 포지션을 늘리고 숏 포지션을 줄였다. 장기 투자 펀드들의 비트코인 투자 전망이 개선된 것을 의미한다.

헤지펀드는 롱 포지션과 숏 포지션을 함께 줄였다. 비트코인 투자 익스포저가 줄어든 모습이다.

장기 투자 펀드 롱 포지션은 6214건, 숏 포지션은 570건을 기록했다. 전주 대비 104건 증가, 237건 감소한 수치다.

헤지펀드 롱 포지션은 1194건으로 전주 대비 180건 줄었다. 숏 포지션은 428건 줄은 6226건이다.

비트코인은 4월 18일 시가 3만 9721달러에서 25일 현재 3만 8993달러에 거래된다. 약 1.8% 하락한 수치다.

동 기간 나스닥은 1만 3332포인트에서 1만 2839포인트로 3.7% 하락, S&P500은 4392포인트에서 2.7% 하락한 4272포인트를 기록했다.

금 선물은 1986달러에서 1928달러로 2.9% 하락했다. 자산 시장 전반 하락세가 우세했다. 비트코인이 기존 자산 대비 하락세가 적었다.

# 총 미결제약정
– 9773 계약(직전 주 대비 +169) : 기관 비트코인 익스포져 증가 전환
– 감소 이유 : 장기 펀드 및 헤지펀드 숏 포지션 감소

# 장기 펀드(에셋 매니저): 뮤추얼 펀드 등
– 롱 : 6214계약(+104)
– 숏 : 570계약(-237)
– 순 미결제약정(롱-숏) : 5644 계약(+341)

# 레버리지 펀드 : 헤지 펀드 등
– 롱 : 1194계약(-180)
– 숏 : 6226계약(-428)
– 순 미결제약정(롱-숏) :-5032 계약(+248)

# 분석
비트코인 약세 전망 약화
기관 자금의 비트코인 익스포저 상승 전환
자산 시장 전반 하락세, 비트코인 가격 하락세 기존 자산 대비 약해

거래 포지션

ExpertOption에서 공급 및 수요 영역을 사용하는 방법

공급과 수요는 금융 세계의 모든 시장을 움직이는 것입니다. 수요의 법칙은 수요가 가격에 반비례한다고 말합니다. 가격이 상승하면 구매자가 제품을 구매하기 위해 너무 많은 돈을 쓰고 싶지 않기 때문에 수요가 낮아집니다. 그러나 가격이 내려 가면 매수자들이 열심히 구매하기 때문에 수요가 높아진다. 공급의 법칙은 공급이 가격에 .

ExpertOption

ExpertOption 모바일 앱 다운로드

Download ExpertOption App Google Play Android Download ExpertOption App Store iOS

언어 선택

최근 뉴스

이집트에서 은행 카드(Visa / Mastercard), 전자 결제 및 암호화폐를 통해 ExpertOption에 돈을 입금하십시오.

이집트에서 은행 카드(Visa / Mastercard), 전자 결제 및 암호화폐를 통해 ExpertOption에 돈을 입금하십시오.

ExpertOption에서 계정을 등록하고 확인하는 방법

ExpertOption에서 계정을 등록하고 확인하는 방법

은행 카드(Visa / Mastercard), 전자 결제(UPI, RuPay, Skrill, Neteller, PayTM, Globe pay, Perfect Money) 및 인도의 암호화폐를 통해 ExpertOption에 돈을 입금하십시오.

은행 카드(Visa / Mastercard), 전자 결제(UPI, RuPay, Skrill, Neteller, PayTM, Globe pay, Perfect Money) 및 인도의 암호화폐를 통해 ExpertOption에 CME 주간 데이터 | 블록미디어 돈을 입금하십시오.

인기 뉴스

노트북/PC용 ExpertOption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 및 설치 방법(Windows, macOS)

노트북/PC용 ExpertOption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 및 설치 방법(Windows, macOS)

ExpertOption 검토

ExpertOption 검토

초보자를 위한 ExpertOption에서 거래하는 방법

초보자를 위한 ExpertOption에서 거래하는 방법

인기 카테고리

DMCA.com Protection Status

이 출판물은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이며 투자 조언이나 조사를 구성하지 않습니다. 내용은 전문가의 일반적인 견해를 나타내며 개별 독자의 개인적인 상황, 투자 경험 또는 현재 재정 상황을 고려하지 않습니다.

일반 위험 알림: 거래에는 고위험 투자가 포함됩니다. 잃을 준비가되지 않은 자금을 투자하지 마십시오. 시작하기 전에 당사 사이트에 설명 된 거래 규칙 및 조건을 숙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사이트의 모든 예, 팁, 전략 및 지침은 거래 권장 사항을 구성하지 않으며 법적 구속력이 없습니다. 트레이더는 독립적으로 결정을 내리며이 회사는 이에 대한 책임을지지 않습니다. 서비스 계약은 주권 국가 인 세인트 빈센트 그레나딘에서 체결됩니다. 회사의 서비스는 세인트 빈센트 그레나딘 주권 국가의 영토에서 CME 주간 데이터 | 블록미디어 제공됩니다.

현재 거래 포지션

오늘은 주식을 포함한 금융상품을 거래할 때 자주 듣게 되는 포지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주식이나 암호화폐 거래를 하다보면 롱(Long)을 잡았네, 숏(Short)을 쳤네 등의 포지션에 관련된 표현들을 많이 듣게 됩니다. 문맥과 상황, 뉘앙스로만 보면 롱은 매수를 했다는 거고, 숏은 매도를 했다는 거 같은데 정확히 어떤 것인지는 아리송하지요.

포지션(Position)이란?

어떤 금융상품에 대한 '행위' 또는(그리고) '상태' 의 의미를 갖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A가 삼성전자의 주식을 1주 매수했다고 칩니다. 이 상황을 '삼성전자 주식 1주 매수(행위)' 와 '삼성전자 주식을 1주 보유(상태)' 로 나눠볼 수 있겠지요?

이럴 때 우린 'A가 삼성전자 주식에 대해 매수 포지션을 취했다.' 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즉, 금융상품을 '매입(매도)하는 행위'와 그 결과 금융상품을 '보유(청산)하게 된 상태' 를 통틀어 포지션이라고 칭하는 거죠.

만약 A가 삼성전자의 주식을 100주 더 매수하고, 50주를 매도했다고 칩시다. 그럼 이땐 총 2회의 매수와 1회의 매도행위를 한 1+100-50 = 51주의 매수 포지션을 갖고 있다고 표현할 수 있습니다.

또한 포지션은 현재의 시점에서 내가 가진 금융자산의 앞으로의 상태를 표현한다 고도 할 수 있습니다.

즉, 주식을 매수해서 보유하고 있다는 말은 앞으로의 특정 시기까지는 이것을 지속적으로 보유하고 있을 것이다 라는 입장으로도 볼 수 있다는 말이죠.

이런 행위와 상태에 근거해서 포지션은 가장 단순하게는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습니다.

롱 포지션(Long position) : 금융상품을 매수하는 행위 또는 보유한 상태

숏 포지션(Short position) : 금융상품을 매도하는 행위 또는 청산한 상태

포지션 청산 : 롱 혹은 숏 포지션을 가진 금융상품 자산을 0으로 만드는 것

이 외에도 현물, 선물, 옵션에 따라 조금씩 다른 양태를 갖는데요, 이 부분은 타 블로그에서 표로 정리해놓으신 걸 공유하겠습니다.

출처 : 네이버 블로그 https://blog.naver.com/uscpalicense/220502226992

현재 거래 포지션

● 선물 거래에 대한 얘기이며, 기본적인 선물지원 3거래소(Bitmex, Bybit, Binance Futures)에 대한 비교 분석은 이전 포스팅을 참고하길 바란다.

[선물 거래소 분석] Bitmex / Bybit / Binance

● 선물(Future) ① 흔히 코인러에게 위 3개의 거래소는 선물 거래라기 보다는 마진 거래로 많이 불린다. ② 마진과 선물의 차이가 있지만 이 포스팅에서 그 차이를 다룰 건 아니므로 차후에 다�

● Binance 선물 거래의 특이점

① 일단 아래의 설명을 링크한다. 한 번 쓱 읽어보자.

바이낸스는 복잡한 리스크 컨트롤 엔진과 청산 모델을 통해 높은 레버리지 거래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트레이더가 사용할 수 있는 레버리지는 포지션의 명목 가치에 따라 결정됩니다. 포지션 ��

a. 위의 내용은 한 마디로 내가 설정한 레버리지에 따라 들어갈 수 있는 돈의 한계가 있다 는 얘기다.

ex) 예를 들어 BTCUSDT 의 교차 포지션(125x)을 잡을경우, 내가 설정한 레버리지가 125x인 경우에는 최대로 잡을 수 있는 포지션은 50,000USDT가 한계라는 얘기이다. 실제로 레버리지 조정부분을 열어서 100x로 조정해보면 '현재 레버리지에서 최대 포지션'은 250,000USDT라고 변경되어 표시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b. 이런 규정은 Bitmex와 Bybit의 규정에는 없는 내용이다. Bitmex와 Bybit의 경우는 최대 레버리지 100x로 레버리지가 높아질수록 내가 잡을 수 있는 포지션의 양이 많아진다. Binance는 그 양의 한도를 막아놓은 것이다. 그 결과로 고배율 대량의 포지션은 Binance에서 잡을 수 없다.

왜? 한도를 막아 놓은 것일까?

이 부분은 다시 CME 주간 데이터 | 블록미디어 보험기금에 대한 얘기로 돌아가야한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포스팅 해놓았다.

[Futures] ADL(자동자산청산)과 보험기금에 대해서

● ADL (자동자산청산) 코인러들이 선물 거래, 흔히 마진 거래를 하는 곳의 대표적인 3개의 거래소 - Bitmex, Bybit, Binance - 에서 거래하다보면 이런 것을 볼 수 있다. 바로 ADL이다. ADL이란 Auto-Deleve.

간단하게 말해서, Binance 거래소 입장에서 리스크를 줄이겠다는 말이다. 고배율로 대량의 포지션을 잡는 사람이 많아질수록 보험기금의 할 일이 많아진다. 급등을 할 경우에 수익을 CME 주간 데이터 | 블록미디어 낸 사람들에게 해당 수익을 보장해줘야하고, 급락을 할 경우에는 거래자들의 계좌가 마이너스가 되지 않도록 막아줘야 하기 때문이다.

Bitmex에서는 위 아래 커다란 꼬리를 통해 단기 고배율 거래자들을 청산 시키는 일종의 스캠 무빙을 시전 하는 경우가 CME 주간 데이터 | 블록미디어 종종 있었다(+서버 오버로드). 실제로 누군가가 의도를 가지고 이런 식의 움직임을 만드는건지는 알 수 없지만, 이런 움직임에 질려버린 꽤 많은 거래자들이 Binance로 넘어갔다는 얘기도 들린다.

그래서 Binance 거래소는 그런 괴랄한 움직임을 피하여 '청산자들을 통해 보험기금을 충당하는' 것 대신, 서버를 안정화 하고 리스크를 줄여서 거래소 자체가 쥐고 있는 보험기금의 양을 천천히 우상향 시키겠다는 의도 로 파악된다.

우리같은 거래자 입장에서는 어떤 특별한 이점이 있지는 않다. 다만 위와 같은 사실을 모를 경우 의아해 할 수 있는 정도이다. 선물 거래하는 사람 대부분이 CME 주간 데이터 | 블록미디어 고배율로 한 탕의 큰 돈을 벌고자 하는 욕심이 있어서, 그런 거래를 원하는 사람들은 Binance Futures의 시스템이 맘에 들지 않을 수도 있겠다.

다만, 미국 주식 ETF에 3배~4배짜리 상품이 전부인 것을 생각해 봤을때, 과연 내 돈 풀배팅 해가면서 포지션을 잡는 것이 장기적인 트레이딩 습관에 도움이 될까 싶다.


0 개 댓글

답장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