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 평균 및 모멘텀

마지막 업데이트: 2022년 7월 9일 | 0개 댓글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이동 평균 및 모멘텀

이번 글은 가상화폐 투자전략을 컴퓨터 알고리즘으로 구현하여, 가상화폐 거래 데이터를 기반으로 백테스팅을 해본 결과에 대한 글입니다.

투자전략은 "가상화폐 투자 마법 공식"의 책에 소개되어 있는 모멘텀 투자 전략을 구현하여 이동 평균 및 모멘텀 분석했습니다.

참고 서적 : 가상화폐 투자 마법 이동 평균 및 모멘텀 공식

사용 언어 : Python

백테스트 종목 : BTC (비트코인)

구현된 투자 전략은 아래와 같습니다.

1). 5일 이동 평균선 기준으로 상승장 및 하락장 판단

2). 래리 윌리스엄스가 제안한 변동성 돌파 전략으로 추세 강도 및 매매 조건 판단

3). 변동성 조절 전략으로 리스크 관리

위와 같이 3가지 기존 투자 전략을 기반으로 백테스팅을 해봤습니다.

이제 순서대로 백테스팅 결과와 분석을 시작해보겠습니다.

(전략에 대한 상세한 사항은 추후 관련 서적 리뷰나 기초에 관련된 글을 작성할 예정입니다.)

전략 1 : 5일 이동평균선 + 래리 윌리엄스 변동성 돌파 전략

BTC (비트코인) 데이터 : 2013년 12월 27일 ~ 2018년 이동 평균 및 모멘텀 12월 04일 기준

매수 조건 : 5일 이동평균 종가 가격보다 현재 가격이 높음 + 변동성 돌파 전략에서 정해진 타겟 매수 금액보다 높음

매도 조건 : 당일 오후 11시 59분에 전량 매도

위의 그래프는 전략 1의 백테스팅 결과입니다. 모든 전략은 수수료 및 슬리피지 효과를 3% 반영한 결과 입니다.

분석 : 이동평균 가격을 통해 상승장이라 판단할 때만, 투자를 하게 되므로 자동적으로 하락장일 때에는 어느 정도 방어가 되는듯 합니다. 또한 변동성 돌파 전략을 통해 모멘텀이 상대적으로 강할 때 매수를 진행할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 전체적으로 수익 곡선이 비트코인의 가격(종가)를 따라가는 듯이 보이지만 하락 장일 때에는, 매수 진입이 이동 평균 및 모멘텀 안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손실을 적게 보는 효과가 있는 듯합니다. 그러나 MDD (Maximum draw down) 최대 손실은 35.94%로 저의 전체 투자금의 약 1/3이 날아가는 구간을 경험할 수 있다는 점에서 상당히 큰 MDD라 생각이 이동 평균 및 모멘텀 들어서, 장기간 투자를 진행하기에는 심리적으로 힘들다고 보입니다.

다음으로 전략 2번째 입니다. 전략 1에서 변동성 조절을 통해 리스크를 관리하는 방법을 추가한 것입니다.

전략 2 : 5일 이동평균선 + 래리 윌리엄스 변동성 돌파 전략 + 변동성 조절

변동성 조절은 예를 들면, 지난 5일 동안 비트코인의 가격(종가)의 변동성이 7% 였다고 가정하면, 오늘 제가 투자를 진행했을 때, 높은 확률로 저의 투자금의 7% 만큼 수익 또는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것 입니다. 투자에서는 수익 보다 손실의 최소화에 신경을 쓰는 것이 좋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가능하면 이러한 변동성을 낮추는 것이 지속적인 수익을 기대할 수 있는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됩니다.

위 의 그래프는 전략 1에 변동성 조절 전략을 추가한 결과입니다.

분석 : 수익이나 MDD가 상당히 개선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수익이 11.94배 에서 58.76배로 엄청나게 올랐습니다. 그리고 MDD 또한 35.94%에서 26.72%로 감소했습니다. 위의 그래프에서 주황색 곡선 은 변동성 조절 전략을 추가한 것이고, 파란색 곡선 은 기존의 전략 이동 평균 및 모멘텀 1의 결과입니다. 이와 같은 수익의 변화가 나타나게 된 가장 큰 이유는 변동성 조절을 통한 손실 최소화라고 생각이 됩니다. 예를 들어 10만원의 투자금이 있고 변동성이 3%라고 가정해봅시다. 처음에 3%의 수익이 나고 다시 3%의 손실이 나면 본전일 것 같지만 사실은 투자금이 99910원이 됩니다. 또한 반대로, 3%의 손실이 먼저나고 3%의 수익이 나도 결론적으로는 투자금의 손실이 발생하게 됩니다. 따라서 손실이 발생하게 되면 손실된 금액을 만회하기 위해서는 더 큰 수익률을 거둬야 가능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변동성 조절 전략을 통해 실제 투자 종목의 변동성을 투자자가 원하는 타겟 변동성으로 투자금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손실을 최소화하게 되므로, 장기적으로는 더 큰 수익을 기대할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

한계점 : 모멘텀 투자 전략의 한계

이번 이동 평균 및 모멘텀 테스트에서는 데이터 기간을 다르게 설정했습니다.

B TC (비트코인) 데이터 : 2018년 01월 01일 ~ 2018년 12월 04일 기준

분석 : 위의 결과는 전략 2의 투자 전략을 기간 2018년 01월 01일 ~ 2018년 12월 04일로 바꿔서 백테스팅을 해봤습니다. 그 이유는, 횡보장에서도 모멘텀 전략이 잘 먹히는지 테스트를 해보고 싶었습니다. 위의 결과에서 보는 것처럼 수익은 0.86배로 오히려 투자금의 손실이 발생하게 됩니다. 모멘텀 전략은 기본적으로 가격의 모멘텀 성질을 기반으로 수익을 창출해내는 전략입니다. 위의 결과에서 보듯이, 가격 변동이 심하지 않고 횡보하는 경우, 가격 상승의 이동 평균 및 모멘텀 모멘텸 효과가 크지 않기 때문에, 매수 진입을 해도 수익이 발생할 확률이 상당히 낮습니다. 또한, 변동성 돌파 전략의 매수 가격이 현재가보다 상당히 높다고 생각될 정도로 설정되기 때문에, 매수가 실현되어도 모멘텀이 충분하지 않으면 오히려 손해를 보고 매도를 하게되는 때가 많이 발생합니다. 따라서, 손실과 더불어 수수료 및 슬리피지로 인한 비용만 발생이 되기 때문에 모멘텀 전략은 이와같이 횡보장에 상당히 취약한 것 같습니다.

이와 같이 변동성 돌파 전략과 관련된 백테스팅 결과들을 정리해봤습니다. 아직까지 정리가 부족한 부분들은 추후에 글을 이동 평균 및 모멘텀 작성할 예정입니다. 부족한 부분이 많아도 이해해주시길 바랍니다.


0 개 댓글

답장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