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증권분석 - 기술적 분석: 의의와 가정

마지막 업데이트: 2022년 2월 17일 | 0개 댓글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차트의 해석》 표지 ⓒ 이레미디어 제공

[제태크와 금융투자] ⑫-1 증권분석 - 기술적 분석: 의의와 가정

기술적 분석 차트 패턴 (출처: Indicatorchart)

  • 기술적 분석은 기본적 분석에 비해 용이하고 간단하여 한눈에 알아볼 수 있음
  • 기술적 분석은 주가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인 요인을 반영 하므로 기본적 분석의 한계점을 보완
  • 주가 움직임에는 모든 정보가 반영되어 있다
  • 주가는 추세를 가지고 움직인다
  • 추세 및 주가 형태는 반복 된다
  • 다우이론과 엘리어트 파동이론
  • 캔들차트분석
  • 이동평균선 분석
  • 기타 기술적 분석지표 : 상대강도지수, 투자심리도, 이격도, 필터기법

2. 기본적 분석과 기술적 분석

  • 기본적 분석 : 기업의 수익성에 영향을 미치는 경제, 산업, 그리고 기업의 경영 요인 및 재무 요인 등 기본적인 사항을 분석하여 주식의 내재가치를 산정하고 이를 시장가치와 비교함으로써 합리적인 투자판단 자료를 제공하는 분석방법
  • 기술적 분석 : 주식의 매매시점을 파악할 수 있도록 과거의 시세 흐름과 패턴 을 파악해서 정형화하고 이를 분석함으로써 향후 주가를 예측하는 데 사용되는 분석방법
  • 공통점 : 기본적 분석과 기술적 분석은 1 증권분석 - 기술적 분석: 의의와 가정 비효율적인 시장을 전제로 증권을 개별적으로 분석
  • 차이점
    • 기술적 분석은 주가가 이론적 요인뿐만 아니라 심리적 요인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다는 가정에 기초
    • 기술적 분석은 기본적 분석에 비하여 논리적인 면에서 빈약
    • 기본적 분석은 기술적 분석에 비하여 많은 시간이 소요됨
    • 기본적 분석은 내재가치를 추정하여 증권의 과대(과소) 평가를 판단하는 데 유용한 번면,
    • 기술적 분석은 주가의 동향을 미리 감지하여 매매시점 선정에 유용

    3. 기술적 분석의 한계

    • 주가가 반복된다는 기술적 분석의 가정과 한계 : 과거의 주가 흐름은 단지 그 당시의 경제상황, 산업특성, 기업가치, 투자자들의 심리적 요인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주가 흐름이 일정한 변동을 갖고 되풀이된다는 주장은 비현실적
    • 상이한 분석결과로 인한 혼선 초래
      • 동일한 주가 변화 양상을 기초로 분석한다고 하더라도 어느 시점이 주가 변동의 시작점인가 하는 해석이 분석자마다 다를 수 있음
      • 동일한 기술적 분석기법을 사용하더라도 분석자에 따라 다른 투자전략이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혼란 초래

      기술적 분석 차트 패턴 (출처: Indicatorchart)

      기술적 분석(technical analysis)은 과거의 증권가격 및 거래량의 추세와 변동패턴에 관한 역사적 정보를 이용하여 미래 증권가격의 움직임을 예측하는 분석기법이다. 즉, 증권시장의 시황이 약세시장이나 강세시장으로 전환하는 시점과 시장동향을 미리 포착하여 초과수익을 얻는 데 분석의 초점을 두고 있다. 기술적 분석은 과거 증권가격 움직임의 양상이 미래에도 반복된다고 가정하고 있고, 증권가격의 패턴을 결정짓는 증권의 수요와 공급이 이성적 요인뿐 아니라 비이성적 요인이나 1 증권분석 - 기술적 분석: 의의와 가정 심리적 요인에 의해서도 결정된다는 것을 전제하고 있다.

      차트의 기술적 분석 (Youtube : 슈카월드)

      기술적 분석

      6월23일 서울 중구 하나은행 본점 딜링룸 전경ⓒ연합뉴스

      6월23일 서울 중구 하나은행 본점 딜링룸 전경ⓒ연합뉴스

      코로나19 팬데믹 시기 상승 가도를 달리던 주식 가격이 급락하면서 투자자들의 시름이 깊어지고 있다. 코스피와 코스닥은 6월 들어 일곱 번이나 연중 최저점을 새로 썼다. 금리 인상 러시에 ‘빚투(대출받아 투자)족’은 크게 늘어난 이자 부담까지 지게 됐다. 1997년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직전에 비견되는 불경기와 하락장세 속 ‘멘붕’에 빠진 투자자들은 이제 뭘 어떻게 해야 할까.

      국내 증권가의 대표적인 차티스트(기술적 분석전문가)인 김정환 GB투자자문 대표는 최근 출간한 《차트의 해석》을 통해 지금 같은 장세에선 “시장 참여를 최소화하는 게 어쩌면 최선의 전략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무기력하게 아무것도 하지 말라는 건 결코 아니다. 좌고우면하기보다 잠시 멈춰 서서 기나긴 투자 여정의 기초 설계부터 찬찬히 해보라는 조언이다.

      김 대표는 우선 메릴린치의 수석 이코노미스트였던 리처드 번스타인이 만든 ‘투자 시계’를 제시했다. 투자 시계는 실적 기대감의 사이클을 도식화한 것이다. 투자 시계에서 ‘12시’(인플레이션 타임)는 주식시장의 상승 국면이 폭발하면서 투자자들의 흥분과 탐욕이 극치를 이루는 시기다. 절정을 이룬 증시는 하락 국면으로 진입한다. 투자자들은 일시적인 현상이라 믿지만 사실상 추세적인 내림세다. ‘3시’(스태그플레이션 타임)를 지나며 펀더멘털이 무너져 급락 국면이 되고 ‘6시’(디플레이션 타임)가 되면 투자자 대부분은 공포에 휩싸여 주식을 보유하고 있는 것 자체를 후회한다.

      현재 한국 증시는 3시와 6시 사이를 지나는 중인 셈이다. 6시를 맞은 시장은 극도로 위축된다. 매도 권유가 당연시되고 악재가 계속되리라는 믿음이 팽배해진다. 주가가 바닥을 뚫고 지하로 내려갈 수 있다는 ‘디레이팅(De-rating)’ 논쟁이 벌어지기도 한다. 그러나 김 대표는 “시장은 점차 공포와 후회를 극복하고 다시 상승하게 마련”이라며 “6시가 지난 후 펀더멘털이 회복되고 ‘9시’(리플레이션 타임)를 통과해 본격적인 상승 국면에 들어간다”고 앞으로를 예견했다.

      9시 이후 시장은 충분히 공급된 유동성과 펀더멘털을 확인한 투자자들에 의해 절정으로 치닫는다. 결국 흥분과 열광으로 12시, 즉 흥분과 탐욕의 구간을 다시 맞는다. 김 대표는 “신데렐라가 12시 전에 파티장을 떠나야 하듯이 주식 투자자들도 12시가 되기 전에 시장에서 빠져나와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투자자라면 이따금 투자 시계를 바라보면서 다음 국면을 대비해야 한다. 호재와 악재를 객관화시킬 필요가 있다”면서 “특히 하락 국면에선 시장을 지배하는 패닉 심리에 휩싸이지 말고 냉정을 찾아야 한다”고 덧붙였다.

      냉정해지는 방법으로 김 대표는 그의 주특기인 기술적 분석을 제안했다. 기술적 분석이란 과거 데이터(가격, 거래량, 순환 주기 등)를 이용해 현 주가 수준과 미래의 변화를 예측하는 방법이다. 그동안 한국 시장에서 주식의 내재적 가치를 분석하는 기본적 분석과 비교해 기술적 분석은 비중 있게 여겨지지 않아 온 게 사실이다. 정확한 의미와 계량적인 방법론을 모르고 사용되는 경우도 많다.

      김 대표는 “미국, 영국 등 선진국 시장에선 기본적 분석과 기술적 분석의 중요도가 거의 대등하게 평가받는다”며 “글로벌 경제와 증시의 동조화 현상, 투자 상품의 다양화 등으로 한국 시장에서도 기술적 분석의 유용성이 점점 더 높아지고 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적절한 투자 대상을 찾거나 진입 시점을 결정하기 점점 더 힘들어지는 가운데 기술적 분석은 개별 상품의 특성을 잘 파악하지 못해도 과거 데이터를 바탕으로 투자 전략을 수립할 수 1 증권분석 - 기술적 분석: 의의와 가정 있게 해준다”고 말했다.

      《차트의 해석》은 △기술적 분석에서 가장 중요한 개념은 무엇인가 △오늘날 기술적 분석은 어떤 흐름으로 가고 있는가 △계량적 분석은 기술적 분석에 어떻게 적용되는가 △증권사 홈트레이딩시스템(HTS)에 나오는 기술적 지표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없는가 등의 질문을 김 대표가 스스로 던지고, 이에 대해 자답하는 형식으로 쓰였다.

      맛보기로 내용을 전하자면, 김 대표는 이동평균선과 거래량을 기술적 분석의 핵심 개념으로 꼽았다. 그는 “이동평균선과 거래량을 중심으로 한 자세한 투자 전략을 《차트의 해석》에 담았다”며 “이 책을 보면 기술적 분석이 단순히 자를 대고 선을 긋는 수준의 분석이 아니라는 점을 확실히 인식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김 대표는 1994년 대우증권에 입사한 뒤 리서치센터에서 1 증권분석 - 기술적 분석: 의의와 가정 애널리스트로 근무하며 투자 전략(기술적 분석)과 스몰캡·지주회사 분석 등을 담당했다. 증권사를 나와 2019년 GB투자자문을 설립했다. 그는 프로 서예가이자 화가이기도 하다. 애널리스트 시절 사자성어를 키워드로 내세워 보고서를 작성하는 등 인문학과 예술을 접목한 시장 분석으로 화제를 모았다.

      책의 말미에서 김 대표는 변동성이 높은 주식시장에서 투자에만 몰두하지 말라는 메시지를 던졌다. 투자 방법론을 다룬 책에서 투자에 몰두하지 말라는 게 무슨 말일까. 그는 “투자가 인생의 전부는 아니며 우리 인생에는 투자 말고도 중요한 게 많다”고 전하며 로버트 쿠펠과 하워드 아벨이 지은 《거래의 내적 게임》 속 한 구절을 소개했다.

      “성공적인 트레이더에게 돈은 매매의 한 요인이지 결정적인 동기는 아니다. 그는 자신의 인생을 1 증권분석 - 기술적 분석: 의의와 가정 균형되게 바라보며, 일관성 있는 매매 방법을 취하며, 매매의 성공과 실패에 대해 자기 책임 의식이 있고, 적극적이면서 유연한 생각을 갖는다.”

      《차트의 해석》 | 김정환 | 이레미디어 | 504쪽 | 2만3000원

      《차트의 해석》 표지 ⓒ 이레미디어 제공

      《차트의 해석》 표지 ⓒ 이레미디어 제공

      ScienceON Chatbot

      A Study on the Strategic Stock Investment by Fundamental and Technical Analysis

      주식투자자로서 우리는 항상 어떤 주식에 투자할 것이냐의 선택의 문제에 직면하게 된다. 왜 우리는 항상 이런 고민을 해야 하는가? 그것은 희소성의 원칙, 즉 우리가 투자하는 자금이 한정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효율적인 투자를 고려해야만 한다. 이러한 사항을 논점화시켜 접근 가능한 이론을 바탕으로 효율적인 투자를 할 수 있는 전략을 제시해 본다. 주식투자자로서 기본이 되는 기본적 분석과 기술적 분석을 바탕으로 매도/매수 전략을 제시한다. 기본적 분석은 모든 전략의 시초가 되는 연관 된 환경을 분석한다. 국민경제적 요인.

      주식투자자로서 우리는 항상 어떤 주식에 투자할 것이냐의 선택의 문제에 직면하게 된다. 왜 우리는 항상 이런 고민을 해야 하는가? 그것은 희소성의 원칙, 즉 우리가 투자하는 자금이 한정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효율적인 투자를 고려해야만 한다. 이러한 사항을 논점화시켜 접근 가능한 이론을 바탕으로 효율적인 투자를 할 수 있는 전략을 제시해 본다. 주식투자자로서 기본이 되는 기본적 분석과 기술적 분석을 바탕으로 매도/매수 전략을 제시한다. 기본적 분석은 모든 전략의 시초가 되는 연관 된 환경을 분석한다. 국민경제적 요인을 통하여 어떤 증권을 선택할 것인지. 산업적 요인을 통하여 어떤 업종을 선택할 것인지. 기업적 요인을 통하여 어떤 종목을 선택할 것인지에 대한 개략적인 전략의 윤곽을 잡을 수 있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구체적인 기술적 분석을 수행한다. 기술적 분석의 중심은 차트라 할 수 있다. 세계 차트를 분석하여 전체적인 장의 흐름을 읽고, 선물 차트분석, 종합 차트분석, 개별 종목차트분석을 순서로 세분화하여 의사결정을 내린다. 이러한 분석은 추세분석을 통하여 몇몇 방법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는 주식투자 시 일반적인 위험관리 전략 사항으로 투자자의 심리적면인 자기통제가 중요하며, 투자의 기본원칙인 분산투자를 위한 포트폴리오 구성, 적절한 매수/ 매도 시기 선택과 손절 매도의 상하한선을 정하는 손절매도기준 수립이 요구된다.

      Abstract

      The stock investor is always faced what stock choice and investment. Why we always have to agonize that. That is 'Scarcity rule'. Because we have limit fund. So we have to search efficiency best way. The thesis is start this point at issue. It suggested that buying and sales strategic by basic and t.

      The stock investor is always faced what stock choice and investment. Why we always have to agonize that. That is 'Scarcity rule'. Because we have limit fund. So we have to search efficiency best way. The thesis is start this point at issue. It suggested that buying and sales strategic by basic and technical analysis. The basic analysis is searching factor all environment connected stock. We can make outline by national economy factor, what stock choice, by industrial factor, what industrial classification choice and by business factor, what 1 증권분석 - 기술적 분석: 의의와 가정 share choice. By these basic analysis is based on technical analysis details. The chart is on the point of technical analysis. These chart have been analysis by four stages. First, by world chart analysis, we can see the market flow. second by all item chart, future chart and each item chart, we can make a decision details. Finally, It suggest risk management when the make a invest stock. Also when we make a invest, need to mind control, portfolio and checking moment of buying and sales.

      차트의 기술:: 기술적 분석이란. (다우 이론, 엘리어트 파동, 캔들, 거래량, 추세, 패턴)

      (3) 단점
      주가는 반복되지 않을 수 있다. (프렉탈 이론의 한계)
      분석자에 따라 다르게 해석될 수 있다.
      시장변동 원인을 분석할 수 없다.

      2. 다우이론 및 엘리어트 파동

      1) 다우이론
      (1) 다우이론이란?
      기술적 분석 중에서 가장 오래되고 유명한 분석방법
      미국의 경제 대공황을 정확하게 예측하게 된 계기로 알려짐

      (2) 주가변동의 유형
      - 단기변동 (Daily fluctuations): 일일 추세
      - 중기변동 (Secondary movements): 몇 개월 추세
      - 장기변동 (Primary trends): 여러 해에 걸친 주식시장의 흐름
      => 강세시장이나 약세시장은 주가의 장기변동에 기초

      (3) 다우이론의 활용
      - 주가의 중기변동을 중심으로 미래 주가의 장기추세 및 주식시장의 변화 방향 예측
      - 새로운 중기변동의 최고점이 바로 직전의 최고점 이상으로 상승하지 못하면, 장기추세는 하락국면으로 전환

      더블탑!


      - 새로운 중기변동의 최저점이 바로 직전의 최저점 이하로 떨어지지 않으면, 장기추세는 상승국면으로 전환
      => 다우이론을 불임점(abortive point)을 활용하여 증권시장의 장기변동 및 시장의 추세를 예측하는 데 이용

      2) 엘리어트 파동이론
      (1) 의미: 주가 변동은 일정한 법칙에서 반복적으로 움직인다는 이론
      - 주가의 움직임: 상승추세선을 이루는 5개의 파동, 하락추세선을 이루는 3개의 파동

      엘리어트 파동!

      엘리어트 파동의 한계: C파까지 깔끔하게 나오는 경우가 거의 없다.
      하지만 주가의 흐름을 알기에 특히 효과적!

      3. 캔들 및 거래량

      1) 캔들: 거래의 기록 및 증거
      => 추세와 패턴을 확인할 수 있음

      차트의 기술:: 완전 기본적 내용 (캔들, 볼륨, 지지와 저항, 추세선, 패턴)1 증권분석 - 기술적 분석: 의의와 가정

      1. 캔들 캔들: 거래의 기록 및 증거 캔들을 통해 파악할 수 있는 것 1) 추세 상승추세인지, 하락추세인지 2) 패턴 삼각수렴 등 여러 가지 패턴 2. 볼륨(거래량) 거래량: 주식시장에서 주식이 거래된

      2) 거래량: 주식시장에서 주식이 거래된 양
      - 거래대금: 거래량 X 1 증권분석 - 기술적 분석: 의의와 가정 가격
      - 거래량 분석기법:
      거래량은 항상 주가에 선행한다는 것을 전제로,
      거래량을 통해 주가를 분석하는 기법
      => 지지와 저항 확인

      3) 추세선:
      의미 있는 저점 2개를 연결 => 저점이 상승하면 상승추세선
      의미 있는 고점 2개를 연결 => 고점이 하락하면 하락추세선
      주가에는 관성이 존재하기에 추세선이 큰 의미가 있다.

      추세선

      삼각수렴 시 거래량이 줄어드는 이유: 방향을 모르기 때문에.
      이때 방향이 나오면, 거래량이 터지게 된다.

      4. 패턴

      (1) 시메트릭 삼각수렴(Symmetrical Triangle) 5:5
      - 주가의 변동폭이 점차 축소되어 한 점에 수렴해가는 과정에서 형성되는 주가모형
      - 주가의 변화방향을 예측할 수 없음
      특징:
      - 삼각형 수평거리의 2/3~3/4 사이에서 돌파
      - 거래량 차차 감소하다가 돌파 시 거래량 1 증권분석 - 기술적 분석: 의의와 가정 증가
      - 돌파 후 삼각형의 밑변 가격변동폭이 목표치

      (2) 어센딩 삼각수렴 상방 : 하방 = 7 : 3
      (3) 디센딩 삼각수렴 3 : 7

      2) 패턴(쐐기형)
      (1) 하락쐐기형, 상승쐐기형
      에너지가 차차 고갈되다가 방향성을 찾음

      목표가는 올라온 만큼, 내려온 만큼

      패턴(지속형)
      (1) 깃발형(플래그)와 패넌트형

      출처: Steemit

      패턴(헤드앤숄더형)
      -> 패턴보다는 거래량이 중요하다. 거래량이 감소하는 방향으로!

      패턴(더블탑 및 더블바텀)

      더블탑
      => 고점이 조금 높아졌는데 거래량이 줄어들면 대부분 하락!

      더블바텀
      => 저점이 조금 낮아지거나 동일한데 거래량이 증가하면 대부분 상승!

      차트의 기술:: 완전 기본적 내용 (캔들, 볼륨, 지지와 저항, 추세선, 패턴)

      1. 캔들 캔들: 거래의 기록 및 증거 캔들을 통해 파악할 수 있는 것 1) 추세 상승추세인지, 하락추세인지 2) 패턴 삼각수렴 등 여러 가지 패턴 2. 볼륨(거래량) 거래량: 주식시장에서 주식이 거래된


0 개 댓글

답장을 남겨주세요